디지털함안문화대전 > 함안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 전승·언어·문학) > 언어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쓰이는 음성과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적 현상. 함안 지역의 언어는 지역 주민의 오랜 생활과 더불어 존재해 온 것이므로 함안의 역사·사회·문화 등을 반영한다. 표준어에 비해 인위적인 제약을 덜 받아 언어의 본질적 특성을 비교적 생생하게 지니고 있다. 함안 지역만이 가진 문화나 전통에서 비롯된 미묘한 감정 표현 방법, 말의 리듬감 등이 배어...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말놀이. 수수께끼는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을 비유적으로 물으면 상대방이 답을 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이다. 수수께끼는 질문을 하는 사람과 대답하는 사람 사이의 말의 대결이다. 질문을 하는 사람은 은유를 써서 고의로 힌트(hint)가 될 만한 부분을 살짝 피하여 듣는 사람의 관심을 딴 곳으로 돌려 상징적인 특징만...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俗談)은 대체로 교훈이나 풍자, 비판 등을 하기 위하여 어떤 사실을 비유적인 방법으로 서술한 짧은 구절이다. 속담은 대체로 짧은 문장의 형태로 표현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삶의 교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개 고정적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지시적 의미보다는 표현이 담고 있는 비유...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과 희망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 길조어(吉兆語)는 대부분이 ‘~을 하라.’ 또는 ‘~하면 좋다’의 형식으로 어떤 행동을 하면 복이 오거나 좋은 일이 있을 조짐이라는 내용의 의미를 담고 있는 말이다. 금기어(禁忌語)와 마찬가지로 조건절과 귀결절의 짜임이다. 이러한 짜임이 아닌 함안 지역의 길조어도 이와 같은 짜임으로 바...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마음에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말. 금기어(禁忌語)는 신성시되거나 부정(不淨)시되는 대상[사람, 사물, 장소, 인격, 언어 등]에 관하여 말하거나 접근하거나 만지거나 하는 행위를 꺼리는 표현의 말이다. 이를 '속신어(俗信語)'라고도 한다. 금기어는 대부분이 '~하지 마라.', '∼하면 ∼나쁘다.'로 이루어진다. 즉 조건절과 귀결절...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농경에 관련된 말. 농경 어휘란 함안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이 논밭을 갈아 농사를 지을 때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말들을 일컫는다. 함안은 남동쪽은 산지이고 서북쪽은 남강과 낙동강이 흐르는 평야 지대로 남고북저의 독특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형과 지세 때문에 함안은 준 산간 농업과 평야 농업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른 함안...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쓰이는 특유의 습관화된 구절 형태의 언어. 관용구(慣用句)는 둘 이상의 낱말이 합쳐져 있으면서도 그 각각의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語句)이다. 이는 서구의 숙어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최근에는 관용구 이외에도 속담·고사성어·금기어·길조어·수수께끼·비유어[특별히 굳어진 직유·은유·제유·환유 등]·...
-
경상남도 함안 지역어에서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일반적으로 음운은 의미의 변별에 관여하는 음성을 말한다. 즉 사람들이 같은 음이라고 생각하는 추상적 소리로, '님'과 '남'이 다른 뜻의 말이 되게 하는 /ㅣ/와 /ㅏ/ 와 같은 모음과, '돈'과 '돌'이 다른 뜻의 말이 되게 하는 /ㄴ/과 /ㄹ/과 같은 자음 따위를 이른다. 함안 지역...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쓰이는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다른 말에 대하여 갖는 일정한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 국문법에서는 격 조사(格助詞)를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서술격 조사, 보격 조사, 관형격 조사, 부사격 조사, 호격 조사 등으로 분류한다. 함안 지역에서 쓰이는 격 조사는 표준어에서 쓰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고, 표준어에서는 쓰이...
-
경상남도 함안 지역어에서 어간에 붙어 다음 절이나 단어를 연결하는 어미. 연결 어미는 선행절과 후행절을 연결하여 하나의 문장이 되게 하거나, 본용언에 보조 용언을 연결하는 어미를 말한다.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어 주는 연결어미는 두 절(節)을 이어 주는 방식에 따라 대등적 연결 어미와 종속적 연결 어미로 구분된다. 대등적 연결 어미는 의미적으로 대등한 두 절을 이어 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