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1342
한자 音韻
영어공식명칭 Phonem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집필자 이희숙

[정의]

경상남도 함안 지역어에서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개설]

일반적으로 음운은 의미의 변별에 관여하는 음성을 말한다. 즉 사람들이 같은 음이라고 생각하는 추상적 소리로, '님'과 '남'이 다른 뜻의 말이 되게 하는 /ㅣ/와 /ㅏ/ 와 같은 모음과, '돈'과 '돌'이 다른 뜻의 말이 되게 하는 /ㄴ/과 /ㄹ/과 같은 자음 따위를 이른다.

함안 지역어의 자음은 표준어와 같이 19개의 자음이 실현되나, 모음 사이에 놓인 비음의 탈락이 특징적이다. 모음은 표준어와 달리 변별되지 못하는 것들이 있어서 단모음은 6개[/ㅣ, E(ㅔ/ㅐ), Ǝ(ㅓ/ㅡ), ㅏ, ㅗ, ㅜ/]가 실현되고, 그에 따라 복모음도 변별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또한 다른 경상남도 지역 방언에서와 같이 성조(聲調)는 있고, 음장(音長)은 없다.

[특징]

1. 자음

함안 지역어의 자음은 표준어와 같이 19개의 자음이 쓰인다. 모음 사이에 놓인 비음이 탈락되는 현상이 보편적으로 실현되는데, 이 지역어에서의 /ㄴ, ㅇ/ 비음 탈락은 완전히 소멸되지 않고 그 흔적이 앞, 뒤 모음에 남아 비음화되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 종이→ 조~오, 주둥이→ 주디~이;강[이]→ 가~[이], 중[에]→ 주~[우]

㉡ 어머니→ 어무~이,하늘→ 하~알;산[이]→ 사~[이], 날[으니]→ 나~[이]

2. 모음

단모음은 /ㅓ/와 /ㅡ/, /ㅐ/와 /ㅔ/가 변별되지 않으므로 '커다'와 '크다'를 구별하지 못하며, '매다'와 '메다'를 구별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함안 지역어에서는 6개[/ㅣ, E(ㅔ/ㅐ), Ǝ(ㅓ/ㅡ), ㅏ, ㅗ, ㅜ/]의 단모음이 실현되고 있다.

복모음의 경우 단모음에서 변별되지 않던 /ㅔ/와 /ㅐ/가 복모음에서도 변별되지 않으므로 /ㅖ/와 /ㅒ/가 변별되지 않으며, /ㅚ/와 /ㅙ/는 /ㅔ/로 통합 실현된다. 또한 단모음 /ㅡ/와 /ㅓ/가 변별되지 않으므로 복모음 /ㅢ/는 실현되지 않는다.

㉠ 얘→ 예

㉡ 돼지→ 데지, 쇠고랑→ 쎄고랑

㉢ 의사→ 어사~이사

그 나머지 복모음의 실현 여부는 첫소리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초성 자음이 없을 경우에 한해서 대체로 실현되고 있다.

(1) 자음이 있을 경우

㉠ 뺨→ 빰, 가느냐→ 가나

㉡ 휴가→ 후가, 재규→ 제구[사람 이름]

㉢ 차표→ 차포, 표시→ 포시

이령리→ 이렁리[지명], 며느리→ 메느리

(2) 자음이 없을 경우

㉠ 고약, 양, 얌세이[염소]

㉡ 육미[육고기], 유리, 윤서방

㉢ 욕, 모욕탕(목욕탕), 용

㉣ 엿, 연기, 옆, 열, 염치

그러나 /우-/계는 초성 자음이 있는 경우는 물론 초성 자음이 없는 환경에서도 실현되지 않으며, 예외적으로 몇몇 낱말에서만 남아 있다.

㉠ 과일→ 가일, 화투→ 하투, 기와→ 기아 cf)와[왜], 왕

㉡ 사위→ 사우, 귀→ 기, 위→ 우, 사귀다→ 사기다

㉢ 집권→ 집건, 일원→ 일언→ 소원→ 소언 cf)워[소를 멈추게 하는 소리], 원기

복모음의 경우, 자음이 있을 때는 모두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자음이 없는 상황에서도 /우-/계는 /ㅘ/, /ㅝ/를 제외하고는 단모음으로 실현되었으며, /이-/계는 단모음으로 바뀌어 가는 과정에 있어서 현재 7개[/ㅖ, ㅕ, ㅠ, ㅛ, ㅑ, ㅝ, ㅘ/]가 쓰인다.

3. 성조

동남 방언[경상도]은 성조에 의해서 의미가 변별된다. 경상도 방언의 큰 특징인 거센 억양도 이 성조와 관계가 있다. 성조의 대립에 관해서는 이견이 없으나 기저에 나타나는 성조소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함안 지역어를 포함한 경상남도 방언에서는 3가지 가락[높낮이]이 어의 분화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데, 경상북도 방언에서는 2가지 가락밖에 인식되지 않는 것과 다른 점이다. 즉 경상남도의 낮은 가락과 가운데 가락이 하나로 통합되어 경상북도에서는 저(低), 고(高) 2단의 높이에서만 어의 분화가 가능하다.

㉠ 손: 客[고], 手[중], 孫[저]

㉡ 배: 梨[고], 腹·布·舟[중], 倍[저]

㉢ 낫: 諺[고], 晝[중], 鎌[저]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