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301960 |
---|---|
한자 | 活來潭 |
영어음역 | Hwallaedam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충청북도 제천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권순긍 |
저자 출생 시기/일시 | 1683년 |
---|---|
저자 사망 시기/일시 | 1758년 |
성격 | 한시 |
작가 | 김이만 |
[정의]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월악산 용하계곡에 있는 활래담(活來潭)의 모습과 유래를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개설]
제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제천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찾아 유람하면서 많은 시를 남겼다. 「활래담(活來潭)」은 용하계곡에 자리한 활래담을 시로 형상화한 것이다. 이외에도 김이만은 「용하계상음(用夏溪上吟)」, 「제용하석면(題用夏石面)」 등을 지어 용하계곡의 아름다움을 시로 형상화하였다.
[구성]
기구와 승구에서는 용하계곡의 정경을 노래했으며, 전구와 결구에서 활래담의 경치보다는 오히려 활수가 생겨나는 근원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있다.
[내용]
용하산중천일명(用夏山中天日明)[용하의 산중 하늘에 해가 밝으니]
청계구곡자연정(淸溪九曲自然情)[청계(淸溪) 아홉 구비 자연스런 정이 있네]
여하원원인간거(如何遠遠人間去)[어찌하면 멀리멀리 인간세상을 떠나]
인득원두활수생(認得源頭活水生)[활수(活水)가 생겨나는 근원을 찾을 수 있을까?]
[특징]
기구와 승구, 결구에 각각 명(明), 정(情), 생(生)의 운자가 있다.
[의의와 평가]
활래담의 경치보다는 그 근원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일종의 명상시다. 김이만은 용하계곡의 경치를 노래한 시들에서 유난히 도(道)에 관한 물음을 던졌는데, 「용하계상음」은 물처럼 도심(道心)이 길게 이어짐을 노래했고, 「제용하석면」은 지주석처럼 꿋꿋하게 서 있는 도를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