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관재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925
한자 靜觀齋集
영어음역 Jeonggwanjaejip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인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682년연표보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연표보기
성격 문집
저자 이단상
편자 이희조
권책 16권 6책
규격 19.0×31.0㎝

[정의]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청풍 부사를 역임한 이단상의 문집.

[저자]

이단상(李端相)[1628~1669]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유능(幼能), 호는 정관재(靜觀齋)·서호(西湖)이다.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정구(李廷龜)이며, 아버지는 대제학 이명한(李明漢)이다. 아들은 이희조(李喜朝)이다. 1661년 청풍 부사가 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아들 이희조의 편집과 문인 함경도 관찰사 윤지선(尹趾善)의 개판(開板) 주선으로 1681년 시편 3권 1책이 간행되었으며, 그 외의 글을 합하여 1682년(숙종 8) 간행되었다. 이희조는 1706년 청풍 부사로 재직할 때 아버지 이단상의 문집 중 별집과 연보를 청풍에서 간행하였다. 1994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한국문집총간』130으로 영인하였다.

[구성/내용]

『정관재집(靜觀齋集)』은 16권 6책의 목판본으로, 크기는 19.0×31.0㎝이다. 내용은 정관재집서(靜觀齋集敍), 권1~3 시(詩), 권4 교서(敎書)·소(疏), 권5~6 소(疏), 권7 계(啓), 권8~13 서(書), 권14 서(序)·발(跋)·제문(祭文)·공이(公移), 권15 부록 상(上), 권16 부록 하(下)로 구성되어 있다.

원집의 경우 책의 첫머리에 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의 서문이 있으며, 책 끝에는 임영(林泳)윤지선(尹趾善)의 발문이 있다. 청풍 부사를 역임하였으므로 시문 가운데 지역과 관련된 시가 전한다. 그 외 권14에 1661년 청풍 부사로 부임해 오면서 사대부와 백성들에게 소회한 것이 있으면 진달할 것을 명한 「유고일읍문(諭告一邑文)」이 있다.

『정관재별집(靜觀齋別集)』[목판본, 6권 2책, 17.9×27.8㎝]은 1706년 아들 이희조가 청풍에서 『연보』[2권 2책]와 함께 간행하였다. 별집의 내용은 권1 시습유(詩拾遺), 권2 서습유(書拾遺), 권3 서습유, 권4 부록습유(附錄拾遺), 권5 부록습유, 권6 부록습유, 발(跋), 연보(年譜)로 구성되어 있다. 『정관재속집』[목판본, 10권 3책, 15.7×20.0㎝]은 19세기에 간행되었다. 속집의 내용은 권1~8 잡저(雜著), 권9 부록, 권10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문인이었던 이단상의 학문과 사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서간이나 비지문에서는 서인에 속했던 당대 대표적인 문사들과의 교류를 보여주고 있다. 송시열은 “이석형(李石亨)의 문장을 이정구(李廷龜)가 조술(祖述)하고 그 아들 이명한(李明漢)이 이를 계승했고, 다시 이단상 같은 문장이 잇게 되었다”고 칭송하였다. 그의 문하에서 아들인 이희조김창협(金昌協)·김창흡(金昌翕)·임영(林泳) 등이 배출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