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용하계상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907
한자 用夏溪上吟
영어음역 Yonghagyesangeum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권순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출생 시기/일시 1683년연표보기
저자 사망 시기/일시 1758년연표보기
배경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지도보기
성격 한시
작가 김이만

[정의]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제천시 덕산면에 있는 용하계곡의 경치를 노래한 오언 절구의 한시.

[개설]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제천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찾아 유람하면서 많은 시를 남겼다. 「용하계상음(用夏溪上吟)」은 용하계곡의 맑은 모습을 도심(道心)에 비유해서 읊은 작품이다.

[구성]

기련과 승련에서는 솔숲의 맑은 바람을 등장시키고, 전련에서는 용하계곡의 물소리가 끊이지 않음을 말한다. 이것은 결국 맑고 끊임없는 도(道)를 희구하는 마음인 것이다. 그래서 결련에서는 그 길게 이어지는 도심(道心)을 강조하고 있다.

[내용]

보출송림하(步出松林下)[걸어서 솔숲으로 내려가니]

풍청오기량(風淸午氣凉)[바람은 맑고 낮 기운 서늘하다]

계성류불진(溪聲流不盡)[물소리 끊이지 않으니]

갱각도심장(更覺道心長)[도심(道心)이 길게 이어짐을 다시 깨닫네]

[특징]

승련과 결련에 양(凉)과 장(長)의 운자가 있다.

[의의와 평가]

용하계곡의 맑은 모습과 끊임없이 이어지는 물소리를 통하여 도심이 그렇게 맑고 장구함을 말하고 있다. 경물을 통하여 인간의 가치 규범을 이끌어 내는 전형적인 ‘강호가도’의 문맥을 따르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