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301737 |
---|---|
영어음역 | Namukkun Sori |
영어의미역 | Song of woodcutter |
이칭/별칭 | 「어사용」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창식 |
채록 시기/일시 | 2004년 |
---|---|
채록지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
성격 | 민요|유희요 |
기능 구분 | 가창 유희요 |
가창자/시연자 | 최경희 |
[정의]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서 나무꾼들이 지게를 지고 내려오면서 부르는 유희요.
[개설]
「나무꾼 소리」는 나무꾼들이 지게를 지고 나무를 하러 갔다가 산에서 내려올 때 지게 작대기로 지게 목발을 두드리면서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다. 이를 「어사용」이라고도 한다. 지게 목발을 두드리며 구성진 창곡으로 산을 쩌렁쩌렁 울리면서 여럿이 산마루 길을 따라 내려오며 부른다.
[채록/수집 상황]
2004년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주민 최경희에게 나무할 때 불렀던 「나무꾼 소리」를 요청하자 흔쾌히 구연해 주는 것을 채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일반적인 「어사용」의 소리이다. 개인적인 한탄과 기원을 담아 소리로 부른다.
[내용]
삼천초목에 물가유지도 임자가 있는데/ 와다구시는 무얼로 생겨서 임자가 없다/ 청춘홍에 늙었으니 자식알지 못하는구나/ 사생노이 생각하니 이안이 가여우니/ 춘달을지내 꽃을 명년에 다시피고/ 방손에 방초들은 해마다 푸르는데/ 은혜같은 천지간에 불같은 우리인생/ 초목같이 쓰러지고 어느해에 돌아올까/ 인간을 하직하고 북망산천 돌아올제/ 다리영이 사라지고 가슴이 교명하다/ 명산에 도를 닦고 사토로 집을 짓고/ 허공을 깊이깊이 명륜이 잠겼으니/ 황천길 초목이 짜증겨서 백골이 진토로다/ 백골이 적막한데 어느곳에 찾아오니/ 국동은 화천.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지게를 지고 나무를 하러 오고 가며 불리는 노래로 지게 놀이를 할 때도 불려지는 「나무꾼 소리」는 나무를 해 보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나무꾼에 대한 애환을 떠올리게 한다.
[현황]
백두대간 메나리권에 「어사용」이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나무꾼 소리」를 통해 나무를 일상생활에서 땔감 등으로 사용하던 시절의 풍습 등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