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 유적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가연리에 있는 중생대 백악기의 초식 공룡 발자국 화석.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는 약 1억 년을 전후하여 형성된 중생대 백악기 후기 퇴적층인 경상누층군 함안층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 및 새 발자국 화석이 확인된다. 이는 백악기 당시 한반도 남부에 대규모 호수가 조성되었던 지형적 조건과 초식 공룡의 먹이 식물이 풍부하게 자랐던 환경적 조건이...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강명리에 있는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 발자국 화석.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는 약 1억 년을 전후하여 형성된 중생대 백악기 후기 퇴적층인 경상누층군 함안층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 및 새 발자국 화석이 확인된다. 이는 백악기 당시 한반도 남부에 대규모 호수가 조성되었던 지형적 조건과 초식 공룡의 먹이 식물이 풍부하게 자랐던 환경적 조건이 만나...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함안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 발자국 화석.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는 약 1억 년을 전후하여 형성된 중생대 백악기 후기 퇴적층인 경상누층군 함안층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 및 새 발자국 화석이 확인된다. 이는 백악기 당시 한반도 남부에 대규모 호수가 조성되었던 지형적 조건과 초식 공룡의 먹이 식물이 풍부하...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에 있는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 발자국 화석. 함안 명관리 공룡 발자국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백이산 서북편 계곡에서 발견된 화석으로, 지금으로부터 약 9천만 년 전에서 1억 년 전에 호숫가 주변을 거닐던 초식 공룡들이 발자국을 남겼다. 이후 이곳이 두꺼운 퇴적물이 쌓여 열과 압력을 받아 함석으로 굳어지고 다시 융기하여 백이산...
-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에 있는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 발자국 화석.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는 약 1억 년을 전후하여 형성된 중생대 백악기 후기 퇴적층인 경상누층군(慶尙累層群) 함안층(咸安層)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 및 새 발자국 화석이 확인된다. 이는 백악기 당시 한반도 남부에 대규모 호수가 조성되었던 지형적 조건과 초식 공룡의 먹이 식물이 풍부하게 자랐던...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산리에 있는 중생대 백악기의 새 발자국 화석.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는 약 1억 년을 전후하여 형성된 중생대 백악기 후기 퇴적층인 경상누층군 함안층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 및 새 발자국 화석이 확인된다. 이는 백악기 당시 한반도 남부에 대규모 호수가 조성되었던 지형적 조건과 초식 공룡의 먹이 식물이 풍부하게 자랐던 환경적 조건이 만나 공...
구석기 유적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산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 유물 채집지. 용산리 구석기 채집지(龍山里舊石器採集地)는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산리 427번지에 위치한다. 용산 고분군이 있는 동쪽 비탈 하단부에 해당한다. 용산리 구석기 채집지는 운서천과 칠원천이 광려천으로 합류하는 지점으로 구석기에서 삼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시대에 걸친 유적이 분포하는 곳...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우거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 유적. 구석기 시대는 대체로 전기[400만 년 전~12만 5천 년 전]와 중기[12만 5천 년 전~4만 년 전 혹은 3만 5천 년 전], 후기[4만 년 전 혹은 3만 5천 년 전~1만 년 전]로 나눌 수 있다. 구석기인들은 뗀석기와 뼈, 나무, 연모 등을 만들어 사냥을 하거나 식량을 채집하면서 살림을 꾸렸고, 강가나 언덕...
민간 신앙 유적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 신창 마을에 있는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 세우는 장대. 동촌리 신창 솟대는 신창 마을에서 잡귀와 부정(不淨), 그리고 불길[火魔]의 접근을 막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긴 장대 위에 쇠로 만든 새를 올려서 마을 입구에 세운 마을 공동체 신앙의 대상물이다. 솟대는 동고사(洞告祀)를 올릴 때 마을의 안녕과 수호, 풍년을...
조개더미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 있는 신석기 시대에서 삼국 시대까지의 조개더미 유적. 조개더미[패총(貝塚)]는 인류가 먹을 수 있는 재료와 생활 도구를 만들기 위해 바다와 강가, 삼림에서 원료를 확보하여 이용, 가공, 활용한 후 버려진 찌꺼기가 한 장소에 덩어리를 이루며 형성된 유적이다. 조개더미를 구성하는 찌꺼기는 조가비와 어류, 조류, 포유류 등이 많으며 이 가운데에는 생활에...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유원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조개더미. 유원리 조개더미는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 보고서』-함안군의 선사, 고대 유적을 간행하기 위해 실시한 지표 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으로, 당시 묘역 조성 과정에서 노출된 조개더미를 확인하였다.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유원리 산10...
집자리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덕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집자리.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덕대리 312-1번지와 덕대리 299번지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으로는 명관천이 유적이 형성된 구릉의 방향과 같이 흘러가고 있고, 동쪽으로는 석교천(石橋川)이 동촌들을 관통하고 있다. 유적 주변에는 청동기 시대 집자리 및 고인돌들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 20...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마을 유적. 동촌리 유적(東村里遺蹟)Ⅱ는 2009년 4월 22일부터 그해 5월 25일까지 동서 문물 연구원에서 발굴 조사한 유적이다. 이 일대는 경전선 복선 전철화 사업 구간 중 군북역 이전 부지 구간에 포함된다.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의 집자리와 무덤 등이 확인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집자리 4동과 무덤 14...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집자리 유적. 동촌리 유적(東村里遺蹟)Ⅲ은 2010년 2월 22일부터 그해 4월 8일까지 동서 문물 연구원에서 창고 신축 공사와 관련하여 구제 발굴 조사한 유적으로,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의 집자리가 확인되었다. 동촌리 유적Ⅲ은 창고 신축 부지에 대하여 시굴 지역과 발굴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오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및 집자리. 오곡리 가마실 유적은 1997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한 청동기 시대의 무덤 및 집자리 유적으로, 원형의 집자리 및 돌덧널[석곽(石槨)] 형태의 고인돌 하부 구조가 발견되었다. 발굴 조사로 확인된 집자리는 소위 송국리형(松菊里型) 집자리로 규모는 5m 내외이며, 집자리 중앙에 작...
생활 유적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생활 유적과 삼국 시대 덧널무덤이 혼재한 유적군. 검암리 유적군(儉岩里遺蹟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 726-1번지와 검암리 656-3번지, 검암리 24번지, 검암리 681번지, 검암리 706번지에 위치한다. 동지산(冬只山)[216.7m]의 서북쪽 구릉 말단부에 해당한다. 현재 유적의 대부분은 밭으로...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및 조선 시대 유적. 봉성리 유적(鳳城里遺蹟) 중 조선 시대의 열녀비는 1866년(고종 3)에 건립된 것이다. 당시 함안 봉성동에 살고 있던 한덕조의 처 밀양 박씨(密陽朴氏)의 행적[남편의 병 간호]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비석이다. 함안~가야 간 도로 확장·포장 공사로 인해 2003년 8월 11일부터...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산서리·산인면 부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삼한 시대의 생활 유적과 삼국 시대의 고분 유적. 부봉리 유적군(釜峰里遺蹟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산서리 137번지와 산인면 부봉리 산119번지, 부봉리 산133번지, 부봉리 산141번지, 부봉리 산146번지에 위치한다. 함안천과 운곡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동쪽 능선에 해당하고, 함안군 산인면...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사내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조선 시대의 유적.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사내리 895번지에 위치한다. 함안 사내 일반 산업 단지 조성 사업 부지 발굴 조사 결과 구석기 문화층과 청동기 시대의 환호(環濠) 및 돌널무덤[석관묘], 수혈, 조선 시대의 분묘 등이 확인되었다. 구석기 시대 문화층 조사에서 석영제 몸돌과 격지 석기,...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내리·가야읍 묘사리에 있는 초기 국가 시대~삼국 시대의 복합 유적군. 윤내리·묘사리 유적군(輪內里·苗沙里遺蹟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내리 윤내 마을과 가야읍 묘사리 묘동 마을을 감싸고 있는 낮은 구릉지 일대와 마을, 경작지 일대에 위치한다. 유적 분포지는 천제산에서 북으로 완만하게 뻗어 내린 능선이 함안군 법수면 윤내리와 가야읍...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조선 시대 생활 유적. 2004년에 경남 발전 연구원에서 함안 고인돌 공원 조성 부지 내 유적에 대한 시굴 조사를 실시하여 청동기 시대의 논 및 관련 배수로[구덩이], 구상 유구(溝狀遺構), 기둥 구멍 등 약 120여 기의 유구와 조선 시대의 건물 터 1동, 석렬 1기를 확인하였다. 특히 유적에서는 계단식 논이 확인되었...
고인돌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 분포하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기원전 10세기 무렵 멀리 시베리아에서 발생한 북방의 청동기 문화가 몽골과 만주 지방을 거쳐 한반도에 이르게 되면서, 한반도의 북부 지역에서부터 신석기 시대가 막을 내리고 서서히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바닷가나 강가에 살면서 사냥이나 고기잡이를 위주로 하는 채집 경제 단계에 머물러 있던 신석기 단계와는 달리,...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지석묘(支石墓)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 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이다.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일대에는 동촌리 27기, 덕대리 5기 등 많은 수의 고인돌이 무리 지어 있다.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는 지금까지 함안 지역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이 모여 있는 곳...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괴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괴산리 고인돌은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괴산리 새터 마을 북쪽 농경지에 있으며, 함안 대로에 접해 있다. 함안군 지역의 고인돌은 남강과 낙동강에 유입되는 함안면의 함안천, 칠원읍의 광려천, 군북면의 석교천을 따라 대부분 분포한다. 괴산리 고인돌은 함안천 주변에 있으며, 함안천을 따라서는 괴산리 고인돌...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구포리 평계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경상남도 함안군 지역은 남고 북저의 분지상 지형으로 남강과 낙동강이 북서쪽에서 자연적 경계를 이루며, 남동쪽으로는 해발 600m 전후의 산지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곡저 평지를 이용한 식량 자원의 생산은 안전한 문화적 생활 영역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를 이루었다. 남쪽으로는 진동만...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내인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내인리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내인리에 위치한다. 함안군 산인면 내인리 감골 마을에서 부봉리 어연 마을로 이어지는 지방도 제1021호선 서쪽의 고갯마루에 고인돌 2기가 있다. 함안천과 그 지류인 검암천이 합류되는 지점 부근의 구릉 말단부에 자리한다. 지형적으로는 자양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동촌리 서촌 고인돌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서촌 마을 회관 앞의 주택 마당에 위치한다. 지형적으로는 석교천 상류의 곡간 평야에 해당한다. 함안군 군북면석교천을 따라 열상으로 무리를 지어 분포하고 있는 함안 군북 지석묘군(咸安郡北支石墓群)[경상남도 기념물 제183호]에서 남쪽으로 약 400m 거리...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명관리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명관들 일대에 자리한다. 평광 마을의 앞 농경지에 7기의 고인돌이 서쪽 편에 흐르는 소하천을 따라 줄지어 분포하고 있다.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에 의해 알려졌으나 발굴 조사는 실시되지 않았다....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봉성리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 일대에 펼쳐진 넓은 충적 대지의 중심부에 남북으로 열을 지어 4기가 분포한다.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와, 1997년에 아라가야 향토사 연구회에서 실시한 함안 고인돌 지표 조사에서 4기가 확인되었다...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북촌리 고인돌은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함읍 우체국 내에 위치한다. 지형적으로는 함안천을 따라 형성된 곡간 평야(谷間平野)에 입지한다. 함안천은 남에서 북으로 흘러 남강에 유입되는 하천으로, 함안천 주변에는 광정리 고인돌군과 괴산리 고인돌, 봉성리 고인돌군 등의 청동기 시대 고인돌이 하천을 따라...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서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서촌리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서촌리 417-2번지 일대 상동촌 마을 앞 논 경작지와 상동촌 마을과 아래 동촌 마을 사이의 과수원에 위치하고 있다. 함안천이 남강에 합류하는 부근의 구릉 사이 평야에 자리한 고인돌군으로 해발 약 15m 내외의 낮은 저지에 입지하고 있다. 1995년에 창원 대...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송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송정리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송정리 886-4번지에 위치한다. 산인천과 입곡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남쪽에 형성된 충적 대지 및 구릉 끝자락에 분포한다. 함안군 산인면 송정리 일대의 고인돌은 1997년 아라가야 향토사 연구회의 지표 조사에 의해 8기가 확인되었으며, 북쪽으로 인접한...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예곡리 야촌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야촌동구름보들 일대에 자리한다. 고인돌군은 광려천 변의 충적지에 위치하며, 광려천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여러 곳에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에 의해 알려졌으나 발굴 조사...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오곡리 부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오곡리 가마실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오곡리 부곡 마을 앞 경작지에 위치한다. 함안 지역 청동기 고인돌군 중 광려천 주변에 분포하는 고인돌로, 동쪽에는 남에서 북으로 흘러 낙동강에 유입되는 광려천이 흐르고 있다. 주변에는 오곡리 여우실 고인돌군, 용정리 석전 고인돌군, 예곡리 야...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오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오곡리 여우실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오곡리의 구릉에 위치한다. 동쪽에는 남북으로 이어진 중부 내륙 고속 도로가 개통되어 있으며, 서쪽에는 광려천이 곡류하면서 흘러가고 있다. 함안 지역의 청동기 시대 고인돌은 함안군 군북면의 석교천, 함안면의 함안천, 칠원읍의 광려천을 중심으로 하천 주변에...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산리·칠서면 무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산리 쇠많이 마을 일대와 칠서면 무릉리쇠많이들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이 지역은 운서천이 광려천과 합수하는 지점으로 그 배후로는 넓은 들이 형성되어 있다. 고인돌은 운서천의 남쪽 경작지 일대에 분포하는데, 용두산[109.5m] 아래의 쇠많이 마을이 중심지이다....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용정리 석전 고인돌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정리 석전 마을의 좁고 긴 곡간 평야(谷間平野)에 자리하는데, 곡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인돌 10기가 분포하고 있다.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에 의해 알려졌으나 발굴 조사는 실시되지 않았다. 고인...
고분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 있는 삼국 시대의 무덤. 고분(古墳)이란 지하 또는 지상에 매장 시설을 만들어 시신을 안치하고 그 위에 흙이나 돌 등을 높이 쌓아 올려서 만든 무덤을 말한다. 옛 무덤을 뜻하기도 하지만 고고학에서는 개념적으로 엄격히 한정하여 특정 시기, 즉 고대 국가 형성기에 만들어진 무덤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보통 삼국 시대의 무덤을 지칭한다. 죽은 자의 시신을...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덕대리와 동촌리에 걸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군북면 도시 계획 도로 개설 부지 내 유적(郡北面都市計劃道路開設敷地內遺蹟)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덕대리 142번지와 동촌리에 위치하고 있다. 동촌리 고인돌군과 매우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27호 고인돌과는 북쪽으로 약 6m 정도 떨어져 있다. 2007년에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에서...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대사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대사리 송라 고분군(大沙里松羅古墳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대사리 송라 마을 북쪽 능선에 형성된 대규모 고분군이다. 고분은 능선의 정선부와 그 양측 비탈면에 분포되어 있으며, 다소 경사가 급한 부분에도 유구가 조성되어 있다. 유적이 입지한 곳은 정상부에 테뫼식 석축 산성이 있는 고종산(鼓鍾山)[13...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에 있는 가야 시대 말 갑옷이 출토된 고분. 마갑총(馬甲塚)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448번지, 현재 해동 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자리에 입지한다. 1992년 6월 6일에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103-4번지[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일대에 신축 중인 해동 아파트 단지 내에서 배수관 설치 작업 중 토기편과 철기편이 지상에 노...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 봉성리 청동기 시대 무덤군은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 544-1답, 봉성리 290번지, 봉성리 310답~329답에 자리한다.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 일대의 충적 대지에 대규모 군집을 이루며 열상으로 위치한다. 봉성리 청동기 시대 무덤군은 지표 조사와 시굴 조사를 걸쳐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사내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사내리 덕전 고분군(沙內里德田古墳群)은 백새 마을·덕전 마을 배후에 위치한 삼봉산[271m]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들 전역과 주변 농경지, 가야리 선왕동까지 분포한다. 일찍부터 많은 도굴로 인해 알려지기는 하였으나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에서 고분군...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수곡리·모로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수곡리 수곡 고분군(藪谷里藪谷古墳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수곡리 수곡 마을의 북동쪽 구릉에 분포하며, 수곡 안길의 동쪽에 위치한다. 지표 조사를 통해 알려진 가야 시대의 고분으로, 아직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분군의 분포 위치와 규모에 따라 수곡리 수곡 고분군Ⅰ과 수곡리 수곡 고분...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오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및 집자리와 삼국 시대의 고분 유적. 구마 고속 도로 확장으로 인하여 1994년 5월 19일부터 같은 해 7월 31일까지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 고인돌 1기와 청동기 시대 집자리 4동, 그리고 삼국 시대의 덧널무덤[목곽묘] 15기가 확인되었다. 특히 집자리는...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유원리·칠서면 회산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유원리 유하 고분군(柳原里柳下古墳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유원리를 가로질러 흐르는 장암천과 광려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양쪽 배후 구릉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에 의해 알려졌으나 발굴 조사는 실시되지 않았다....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외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윤외리 고분군(輪外里古墳群)Ⅰ은 함안 분지의 북편에 있는 해발 30m 정도의 낮은 구릉 위에 위치한다.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사행해 흘러드는 남강(南江)과는 불과 1.5㎞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으며, 법수 초등학교의 북서쪽에 있는 능선 위에 분포하고 있다. 법수 초등학교에서 직선거리로 150m 정도 떨어진...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외리·주물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윤외리 고분군(輪外里古墳群)Ⅱ는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외리 윤외 마을, 윤산 마을, 새머골 마을 배후의 구릉에 자리하고 있다. 1991년 발굴 조사 당시 함안군 법수면 윤외리 윤외 마을, 윤산 마을 배후의 구릉지 일부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후 『문화 유적 분포 지도-함안군』...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장지리·소포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장지리 고분군(長池里古墳群)·소포리 고분군(小浦里古墳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 머정골을 통하여 고개를 넘어 장지리 남산 마을로 이어지는 산등성이에 분포한다.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에서 장지리 남산 고분군과 소포리 갓먼당 고분군,...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하기리·서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삼국 시대 고분군. 하기리 무덤실 유적은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하기리와 서촌리 서쪽의 배후 구릉에 위치한다. 유적이 위치한 곳은 함안천이 북류하여 남강에 합류하는 지점으로, 남강은 사행을 반복하여 동북쪽으로 흘러 낙동강에 유입된다. 문화재 지표 조사에서 확인된 유적 범위 중 함안군 대산면 서촌리 서촌...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함안 남문외 고분군(咸安南門外古墳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17-9번지 남문 마을의 맞은편 구릉지에 위치한다. 괘안 마을 북동쪽 구릉의 정상부[해발 79.9m]에서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로 뻗어 내린 해발 30m 내외의 저산성 구릉지에 약 20기의 크고 작은 봉토분(封土墳)이 분포해 있다. 이...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말산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咸安末伊山古墳群)은 아라가야(阿羅伽倻) 왕과 귀족의 묘역으로서, 아라가야의 정치적 성장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유적이다. 아라가야의 모습이 19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된 고고학 발굴 조사를 통해 더욱 뚜렷이 확인되고 있다.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배후의 말이산 전역에 걸쳐 고...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주거, 분묘 및 삼국 시대 분묘 유적. 함안 암각화 고분(咸安岩刻畵古墳)은 함안 말이산 고분군(咸安末伊山古墳群)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도동 마을에서 백산으로 넘어가는 소로 옆에 위치하고 있다. 봉토의 서쪽 비탈에 청동기 시대 암각화(岩刻畵)가 비스듬하게 놓여 있어 '암각화 고분'으로 불리고 있으며, 함안 도항리...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황사리에 있는 가야 시대 고분군. 황사리 분묘군(篁沙里墳墓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황사리 산34번지 매곡 마을 일대의 나지막한 야산에 위치하고 있다. 1985년 이래 경상 대학교 박물관이 실시한 함안 서부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1991년 2월 19일부터 같은 해 3월 30일까지 경상 대학교 박물관이 발굴 조사...
묘소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내인리에 있는 조선 전기 어연과 부인 함안 이씨, 아들 어변갑과 부인 창녕 성씨의 묘. 어연(魚淵)[1345~1429]은 1409년(태종 9) 충주 판관을 지내고 이후 대구 현령이 되었으며, 1429년(세종 11) 84세로 생을 마쳤다. 어연의 맏아들 어변갑(魚變甲)[1381~1435]은 1408년 식년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1420년...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황사리에 있는 조선 전기 이개지의 묘. 이개지 묘(李介智墓)를 비롯하여 모두 7기의 묘가 모여 있으며, 5기의 묘비가 있다. 묘역 가장 위쪽에 모촌(茅村)이정의 묘가 있다. 이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함으로 조식(曺植)의 문하생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함안 군수 유숭인의 휘하에서 소모관(召募官)으로 의병을 모집...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에 있는 조선 전기 조안의 묘소.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에 조선단종 때 생육신 중 한 사람인 어계(漁溪)조려(趙旅)의 아버지인 조안 묘소를 비롯하여 큰아들 조동호(趙銅虎)와 장손자 조순(趙純) 및 손자 조건, 장증손자 조정견 등 5대에 걸쳐 다섯 부부의 묘 10여 기가 있다. 가장 위쪽에 조동호와 그의 부인의 묘소가 있다. 2기의 봉...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주세붕의 묘역. 유학자인 주세붕(周世鵬)[1495∼1554]은 자는 경유(景游), 호는 신재(愼齋), 본관은 상주(尙州)이다. 1522년(중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풍기 군수로 재직하던 중 1542년 백운동에 고려 말 학자 안향(安珦)의 사당을 세우고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白雲洞書院)을 세웠다. 그 후 직제학, 승정...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유원리에 있는 고려 후기 윤환의 묘. 윤환(尹桓)[?~1386]은 충혜왕부터 공민왕에 이르기까지 다섯 명의 왕을 섬겼고, 세 차례 재상을 역임하였다. 본관은 칠원(漆原)이며, 시호는 충효(忠孝)이다. 충혜왕 때 대언(代言)을 지냈다. 1339년(충숙왕 복위8) 조익청과 충혜왕 측근의 불량배들을 제거하려다 참소를 입어 칠원군으로 추방되었다...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강주리에 있는 조선 전기 조려의 묘. 조려(趙旅)[?~1489]는 단종 때 생육신의 한 사람이며 자는 주옹(主翁), 호는 어계은자(漁溪隱者), 본관은 함안(咸安)이다. 1453년(단종 1) 진사가 되었고 수양 대군이 등극하자 고향인 백이산 아래에 은거하고 출사하지 않았다. 1698년(숙종 24) 단종이 복위되자 이조 참판으로 추증(追贈)...
비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구포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묘비. 곽연(郭硏)에 대한 기록은 『칠원 읍지(漆原邑誌)』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인조 때에 문과 급제하여 벼슬이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에 이르고 문장(文章)이 뛰어나서 세상에 따를 사람이 없었다. 호는 구사당(久俟堂)”이라고 하였다. 수구재(守口齋)주맹헌(周孟獻)도 일찍이 곽연에게 수학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와 개항기 비각 및 비석. 돈풍각(惇風閣) 및 비석군(碑石群)은 함안군 칠원읍 서남2길 4[용산리 119] 칠원장 입구, 서상 마을 사거리 북쪽 주택가 일대에 있다. 칠원 읍성 서문 외곽에 돈풍각과 칠원 현감들의 치적 비석군 19기가 모여 있다. 돈풍각 현판에 ‘효자 육품 진용 교위 행선전관 안동 권상찬...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에 있는 개항기 묘비. 박정화 묘비(朴精華墓碑)는 박정화와 그의 처 진양 강씨(晉陽姜氏)의 묘비로 1906년 후손들이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박정화 묘비는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디디미못 북쪽의 구릉에 있다. 묘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묘비가 있다. 묘비는 지붕 모양의 가첨석(加檐石)과 비신(碑身), 받침돌로 구성되어 있다....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대치리에 있는 개항기 서기순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서기순 청덕 영세불망비(徐箕淳淸德永世不忘碑)는 함안군 칠서면 대치리와 부목리 경계 지점에 있다. 함안군 대산면 부목리에서 칠서면 대치리로 가는 도로변이다. 귀부(龜趺), 비신(碑身), 지붕돌을 갖추었으며 모두 별석(別石)으로 구성되었다. 귀부는 상당히 간략하게 표현되었으며, 팔다리가...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황사리에 있는 개항기 묘비. 순흥 안씨 묘비(順興安氏墓碑)는 이름을 알 수 없는 순흥 안씨의 묘비로 1892년에 세워졌다. 조선 후기 분묘에 세워진 비석으로 비석 내용을 통하여 묘의 주인이 순흥 안씨임을 알 수 있다. 비신과 비개(碑蓋)가 별석으로 구성되었으며 묘비는 비갈형이다. 비개는 팔작의 모습만 취하고 표현을 생략하였으며, 다소 두...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산서리에 있는 조선 시대 안상의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안상의(安尙義)는 순흥 안씨(順興安氏) 취우정파로 자는 사언이다. 『함주지(咸州誌)』 후집에 안상의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황의 증손이며, 호는 희구재(喜懼齋)이다. 어릴 때부터 학문에 뜻을 두어 고을 사람들이 작은 학동이라 일컬었다. 부모를 받듦에 지극한 효성으로 온 정...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에 있는 조선 시대 열부 비. 『칠원 읍지(漆原邑誌)』에 연안 차씨(延安車氏)에 대한 행적이 기록되어 있는데, “박영호의 아내로서 남편이 병이 들었을 때 그 병을 자신이 대신하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고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입에 넣어 5일간 회생시켰으므로 면과 마을에서 포상이 있었다”라고 되어 있다. 화천 마을에서 유목정...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신음리에 있는 조선 후기 비. 박한주(朴漢柱)[1459∼1504]는 자(字)는 천지(天支), 호(號)는 오졸재(汚拙齋),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1485년 성종 때 문과에 급제, 정연 헌납(正筵獻納)을 거쳐 예천 태수(醴泉太守)가 되어 정치를 잘 살펴 그를 공경하고 복종하였다. 연산군 때 간관이 되어 왕의 실정을 극간(極諫)하여 평안도...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에 있는 조선 전기 조순 장군의 비. 조순(趙純)[?~1398]은 고려 말 이성계(李成桂)[1335~1408]와 같이 위화도까지 출전하였다가 이성계가 회군(回軍)하자 "번국(藩國)으로서 상국(上國)을 범하는 것은 진실로 불가하나 왕명(王命)을 받들지 않고 급히 회군함은 더욱 불가하다"라며 반대한 후 벼슬을 버리고 남쪽으로 내려와 검...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조임도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조임도(趙任道)[1585∼1664]는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덕용(德勇), 호는 간송당(澗松堂)이다. 1604년(선조 37) 향시에 합격하였고, 1605년 21세에 『관규 쇄록(管窺鎖錄)』을 저술하였다. 1608년 「거상 대절(居喪大節)」 10조(十條)를 써서 자손들이 교훈으로...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묘비. 주맹헌(周孟獻)[1617~1730]은 자는 여택(汝宅), 호(號)는 수구재(守口齋)이다. 주세붕(周世鵬)의 손자이다. 일찍이 곽연(郭硏)에게 수학하였고 만년에는 조임도(趙任道)의 문하에서 종학하였다. 병란(兵亂)으로 허물어진 신재(愼齋)의 원묘(院廟)를 중건하였는데, 1676년(숙종 2) 덕연(德淵)이라...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에 있는 조선 후기 통정대부 거제 도호부사 인천 이씨의 비. 통정대부 거제 도호부사 이공 묘비(通政大夫巨濟都護府使李公墓碑)는 1661년(현종 2) 거제 도호부사를 지낸 인천 이씨(仁川李氏)의 무덤에 세워졌다.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 인천 이씨 배향소인 봉남재가 위치한 배후 산 능선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봉남재가 건...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에 있는, 함안군이 아라가야의 고도였던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 아라가야 고도비(阿羅伽倻古都碑)는 함안군이 아라가야(阿羅伽倻)의 고도(古都)였던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기념비이다. 변한 지역에서 번성하였던 아라가야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애석함과, 그때의 거대한 유적과 출토품이 남아 있으니 이를 잘 보존해...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에 있는 함안에 대한 희망과 발전을 기원하기 위해 세운 비. 함안 군민 헌장비(咸安郡民憲章碑)는 경상남도 함안 군민의 기본 정신과 바른 품성, 미래의 함안에 대한 희망을 새긴 비석이다. 헌장비에는 건립 날짜와 주체에 관한 기록이 전혀 없다. 증언에 의하면 1981년 12월 22일에 함안 청년 회의소 회장 이상채가 사비로 건립하였으며...
성곽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 있는 삼국 시대~조선 시대의 흙이나 돌로 축조된 관방 시설. 우리나라의 성곽(城郭)은 축성 재질의 차이로 토성과 석성 그리고 토석 혼축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입지에 따라 평지성과 산성, 평지를 포함한 산지성으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에는 이른 시기부터 많은 성곽들이 축조되었다. 성곽은 외적의 침입을 방어하고 영토를 보전하기 위하여 지리적 요충지에...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제방 유적. 가야리 전 토성(伽耶里傳土城) 터는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266번지 가야동에 위치한다. 가야리 전 토성 터는 『함주지(咸州誌)』의 기록을 근거로 신가야동을 에워싸는 아라가야의 왕궁 터로 알려져 왔다. 다만 가야국 구허라고 기록하고 있을 뿐 왕궁 터라고 기술한 것은 아니며, 발굴...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검단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산성. 검단산성(檢丹山城)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축조 시기나 성격은 알 수 없고, 문헌 기록 역시 소략한 편이다. 다만 『칠원 읍지(漆原邑誌)』 서문에 "…즉무릉산성(則武陵山城) 달전산성(達田山城) 고장산성(固藏山城) 삼국시방어유지야(三國時防禦遺址也)"라 기록되어 있다. 서문에서 확인되...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평림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산성. 고종산성(鼓鍾山城)은 문헌 기록에 나타나지 않은 무명 성이며,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부가 발행한 『조선 고적 조사 보고』에 대산리 산성(代山里山城)으로 기술되어 있을 뿐이다. 문헌 기록으로는 고종산성에 대한 축조 시기를 파악할 수 없으나 산성의 규모나 형태로 보아 삼국 시대 아라가야에 의해 축성되었을 가...
-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관문 성. 내곡리 대현관문성(內谷里大峴關門城)은 고고학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축조 시기와 성격을 파악할 수 없으나, 삼국 시대에 진동 방면에서 가야읍 쪽으로 진입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한티 고개에서 동서로 뻗은 능선의 정...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무릉리에 있는 신라 시대의 산성. 무릉산성(武陵山城)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축조 시기와 성격은 알 수 없으나 문헌 기록은 함안 지역에 위치하는 다른 산성에 비하여 풍부한 편이다. 『칠원 읍지(漆原邑誌)』 칠원지(漆原誌) 서문(序文)에 "…즉무릉산성(則武陵山城) 달전산성(達田山城) 고장산성(固藏山城) 삼국시방어유...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산성. 방어산성(防禦山城)의 정확한 초축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우왕(禑王) 대 왜구와의 전투 기사로 보아 늦어도 고려 말 이전에 성곽이 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아라가야에 의해 축성되어 여항산성(艅航山城)과 함께 함안 지역 서쪽 경계를 방어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고려 시대에는 입보용 산성으로 기능...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사내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봉산산성(蓬山山城)은 함안 포덕산성(咸安飽德山城) 및 여항산성(艅航山城)과 연계하여 함안 지역을 통제한 것으로 보인다. 세 봉우리를 독립적으로 두르는 내성은 아라가야에 의해 축조되었으나 외성의 축조 시기는 알 수 없다. 삼봉산의 북쪽 능선에 외성의 성벽을 쌓지 않았다는 점과 성벽의 축조 수법이 전혀 다...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덕남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산성. 성지봉 산성(城址峯山城)은 아라가야 시기에 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낙동강과 창원 북면 일원에서 진입하는 적을 통제하기 위하여 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덕남리 덕촌 마을 남서쪽에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뻗은 성지봉과 북서쪽 봉우리의 9부 능선을 따라 축조된 테뫼...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회산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산성. 안곡산성(安谷山城)은 칠원산성(漆原山城)과 연계하여 창원, 마산 방면에서 가야읍으로 진입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아라가야에 의하여 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성이지만 동 시기에 축조되었는지는 단언하기 힘들다.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회산리 산247번지에 위치한다....
-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함안면 강명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산성. 여항산성(艅航山城)은 아라가야가 남해를 조망하기 위해서 축성한 것으로 보인다. 두 개의 성곽을 독립적으로 쌓았으나 배치 상태로 보아 동일 시기에 성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여항산 및 북쪽 봉우리 정상부와 이곳에서 북쪽으로 약 700m 지점의 산 정선부를 두르는...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산성. 용성리 산성(龍城里山城)은 문헌 기록에 전혀 나타나지 않는 무명 성으로, 함안군·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간한 『문화 유적 분포 지도-함안군』[2006]을 작성하기 위한 조사 과정에서 새로이 확인되었다. 마을 주민들의 전언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장군 망우당(忘憂堂)곽재우(郭再祐)[1552~1617]가...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유원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산성. 1998년 국립 가야 문화재 연구소에 의해 이루어진 시굴 조사 결과 칠원산성(漆原山城)은 6세기 전반경에 아라가야가 축조한 산성임이 밝혀졌으나 문헌 기록이 소략한 편이다. 창원과 칠원 시가지에서 함안 지역으로 진입하는 적을 통제하기 위하여 축성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 시대와 조선 시대 문헌 기록에 전혀 나타나지 않...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구성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읍성. 2004년에 경남 문화재 연구원에서 조사한 '칠원읍성(漆原邑城) 내 도로 개설 부지 내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로 일정 부분 읍성 부속 시설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있었으며, 조사 결과 읍성의 북문 터를 비롯해 담장 석렬 4기, 건물 터 1동, 우물 1기, 추정 도로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칠원읍성은 1...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송정리·모곡리에 있는 가야 시대·신라 시대의 산성. 함안 문암산성(咸安門巖山城)의 건립 경위는 알 수 없지만 함안 문암산성Ⅰ은 아라가야에 의해서, 함안 문암산성Ⅱ는 신라에 의해서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함주지(咸州誌)』 고적조의 기록으로 보아 1587년(선조 20) 이전에 성곽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경상남도 함안군...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광정리와 함안면 괴산리에 걸쳐 있는 신라 시대의 산성. 함안 성산산성(咸安城山山城)은 국립 가야 문화재 연구원에 의해 17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결과, 6세기 중반에 신라에 의해 축성된 함안 지역의 치소성으로 밝혀졌다. 『여지도서(輿地圖書)』와 『함주지(咸州誌)』에서 성산에 가야국 구허(舊墟)가 위치하였다고 전하는 것으로 보아...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와 산인면 입곡리에 걸쳐 있는 신라 시대의 산성. 함안 성점산성(咸安城岾山城)의 건립 경위를 알려 주는 기록은 없다.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을 참고할 때 조선 전기까지는 성곽의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함주지(咸州誌)』가 편찬되는 1587년(선조 20)에는 고적조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587년 이전...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산성. 함안 포덕산성(咸安飽德山城)의 정확한 건립 경위는 알 수 없으나, 아라가야 시대에 창원·마산 방면에서 함안으로 통하는 거의 유일한 통로인 신당 고개를 방어하기 위하여 축조되었다고 본다. 산성에서 서쪽으로 4.5㎞ 지점의 함안 문암산성(咸安門巖山城)·동지산성과 연동하여 1차, 2차 순으로 이 통로의 차단을...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와 북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읍성. 함안읍성(咸安邑城)은 연해 읍성으로 1510년(중종 10)에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축성되었으며, 1555년(명종10)의 증축으로 규모가 확장되었다. 읍성의 규모와 구조, 시설에 대해서는 『함주지(咸州誌)』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초축 시의 규모는 5,160척[1.56㎞], 증축 시의 규모는...
봉수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정치, 군사적인 목적으로 운용되던 조선 시대의 통신 제도. 봉수(烽燧)란 횃불과 연기로서 변방의 긴급한 군사 정보를 중앙에 알리는 군사 통신 제도의 하나이다. 조선 시대의 군사 통신 수단을 대표하는 것으로 조선 왕조 500여 년간 국가적인 기간 통신망으로 운영되었다. 횃불과 연기로 국경과 해안의 안위를 약정된 신호 전달 체계에 따라 본읍(本邑)과...
-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와 주동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봉수대. 봉수(烽燧)는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밤에는 횃불[烽]로, 낮에는 연기[燧]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전통 시대의 통신 제도이다. 봉수제는 기록상으로 고려 중기[12~13세기]에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삼국 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체계적으로 정비된 때는 왜구의 침입이 극심해진 고...
절터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절터.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 1114번지 대사 마을 일대에 위치한다. 대사 마을 일대는 '대사 터[大寺址]'로 추정되는 곳으로 동지산[216.7m]의 남서쪽이며, 함안천을 사이에 두고 조남산과 마주하고 있다. 동지산 남쪽 150m 내외의 산지들에 의해 둘러싸인 곡부의 하단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쪽...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절터. 『함주지(咸州誌)』 불우조(佛宇條)에는 쌍안산(雙岸山)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정확한 유래나 사찰의 규모에 대해서는 명기되어 있지 않다. 쌍안산은 현재의 백이산을 지칭하는 것으로 『함주지』 산천조(山川條)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군의 관아에서 서쪽으로 20리[7.85㎞]에 위치하는데, 동은...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무기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절터. 무기리 절터가 언제 건립되었고 언제 폐지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산정 마을 동쪽에 위치하는 구고사(九皐寺) 경내에 남아 있는 부도가 무기리 절터에서 옮겨진 것이라고 한다. 함안 구고사 부도(咸安九皐寺浮屠)[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93호]는 종형 부도의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것...
-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절터.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968번지와 주서리 967번지, 주서리 968-1번지에 위치한다. 주리사(主吏寺)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 『함주지(咸州誌)』에서 여항산에 자리한 것으로 전해져 온 사찰이다. 현재 주리사 터로 추정되는 곳은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좌촌...
불교 건축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사촌리 원효암에 있는 고려 후기 전각. 원효암(元曉庵)은 신라 때 원효 대사(元曉大師)[617∼686]와 의상 대사(義湘大師)[625~702]가 수도한 곳으로 전한다. 원효암은 6·25 전쟁 때 의상대를 제외하고 소실되어 중건되었으며, 1990년 원효암 칠성각(元曉庵七星閣)과 의상대를 제외한 전각이 소실되어 2004년 대웅전을...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영동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장춘사의 본당. 장춘사 대웅전(長春寺大雄殿)은 함안군 칠북면 영동리 산14번지에 있다. 장춘사는 832년 신라 42대 흥덕왕 7년에 무량 국사가 처음 세웠다고 전한다. 장춘사 대웅전은 1979년 새로 지은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 기와집이다. 장춘사 대웅전에는 석가모니...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영동리 장춘사에 있는 고려 후기 석탑. 탑은 원래 무덤을 가리키는 말로 스투파에서 유래하였고 석가모니가 열반한 후 석가모니의 유품과 사리를 보관하기 위해 세운 성스러운 구조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연적 조건상 목탑의 형태를 모방한 석탑이 가장 크게 유행하였다. 초기에는 마치 분묘와 같은 복발형(伏鉢形)이었으나 점차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탑은 원래 무덤을 가리키는 말로 스투파에서 유래하였고 석가모니가 열반한 후 유품과 사리를 보관하기 위해 세운 성스러운 구조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연적 조건상 목탑의 형태를 모방한 석탑이 가장 크게 유행하였다. 초기에는 마치 분묘와 같은 복발형(伏鉢形)이었으나 점차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무기리 구고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부도. 부도(浮屠)는 석탑과 마찬가지로 사리를 안치하기 위해 세워진 석조 구조물로 사리가 안치되는 탑신부의 형태에 따라 팔각 원당형과 석종형 등이 있다. 석종형 부도는 외형이 범종과 유사하며 조선 후기부터 크게 유행한 양식이다. 석종형은 지역색이 강하고 시대 흐름에 따른 큰 변화가 없으며 형식에 구애를 받지...
가마터
-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토기·자기·기와 등을 굽는 가마가 있던 터. 가마터란 각종 토기(土器)와 도기(陶器), 자기(瓷器) 등을 넣고 고온에서 소성하였던 구조물인 가마가 있었던 터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가마는 한뎃가마[노천요(露天窯)]와 굴가마[등요(登窯)]로 구분된다. 한뎃가마는 야외에서 연료와 토기 등을 함께 야적해 놓고 불을 지피는 원시적인 형태의 가마이며, 점토를...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대사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도기 가마터. 대사리 도기 가마터는 조선 시대에 운영되었던 가마터로,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대사리 366-1번지와 대사리 391-1번지에 위치한다. 유물이 채집된 지역에 따라 대사리 도기 가마터Ⅰ과 대사리 도기 가마터Ⅱ로 나눌 수 있다. 대사리 도기 가마터Ⅰ은 함안군 대산면 대사리 대사 마을 중 아랫마을 서편...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묘사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토기 가마터. 묘사리 토기 가마터는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묘사리 1416번지 일대로 천제산에서 동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남쪽 비탈에 위치한다. 1995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아라가야 문화권 유적 정밀 지표 조사 보고서』-함안군의 선사, 고대 유적을 간행하기 위해 실시한 지표 조사에서 유적에 대한 최초의...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옥렬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도기 가마터. 옥렬리 도기 가마터는 조선 시대에 운영되었던 도기 가마터이다.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에는 많은 도기 가마터가 존재하고 있는데, 그중 분포가 많은 곳 가운데 하나가 옥렬리이다. 『함주지(咸州誌)』 총담조(叢談條)에 "본 군에는 본래 옹기 굽는 사람이 없었다. 직제학 어변갑(魚變甲)이 진주 목사와 친...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우거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토기 가마터.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우거리 215번지 우거 마을 남동쪽 구부렁골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 주변에는 천제산에서 뻗어 내린 낮은 능선과 작은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능선 사이에서는 질날늪, 대평늪과 같은 강가의 배후 습지가 확인된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국립 김해 박물관에서 세 차례에 걸쳐...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유현리에 있는 삼국 시대~조선 시대의 토기 가마터.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유현리 산168번지 일대의 세실 소류지 북동쪽 곡부 하단부에 위치하며, 산 정상부에서 소류지 수계가 인접한 계곡 하단부까지 확인되고 있다. 유현리 토기 가마터는 2000년에 아라가야 향토사 연구회에서 실시한 지표 조사에서 삼국 시대 토기편들이 확인되어...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주물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토기 가마터.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주물리 산33-2번지와 주물리 615-5번지에 위치한다. 함안군 법수면 주물리 사평 마을 남쪽에 형성된 사평 고분군의 남쪽 비탈과 그 아래 경작지에 해당하며, 사평 마을과 윤외리 삼태 마을 사이에 형성된 곡간(谷間)에 입지한다. 2006년에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 유...
정려각·효열각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강주리에 있는 개항기 효열각. 조상우와 성산 이씨(星山李氏)는 부부로서 부모님 봉양에 정성을 다하였고 가난하여 항상 물고기를 낚아 부모님 밥상에 올렸는데, 어느 겨울에 조상우가 강에서 얼음을 깨고 고기를 낚다가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하루는 시아버지의 꿈결에 죽은 아들이 나타나 며느리 이씨가 강에 빠지려 한다고 하자 깜짝 놀라 아들이...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덕남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덕남리 백원각(德南里百源閣)은 삼열공이경번과 만묵공이경무 두 형제를 위한 효자 정려각(旌閭閣)이다. 두 사람은 부모를 섬기는 데 도리를 다하였고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수혈하여 부모를 7일간이나 더 연명하게 하였다. 그리고 아버지가 학질에 걸렸을 때는 허벅지 살과 까마귀 고기를 달여 드리는 등 효성이 지극하였...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무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각. 주세붕(周世鵬)[1495~1554]의 손자 주익창, 주필창은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 휘하에서 전투를 치르다가 전사하였는데, 이 소식을 들은 그들의 아내 재령 이씨(載寧李氏)와 의성 김씨(義城金氏)는 지리산에 들어가 애통해하다 연못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에 선조가 쌍절의 정려를 명하였...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구포리에 있는 고려 시대 송한문과 조선 시대 강계흠의 효자 정려각. 『칠원 읍지(漆原邑誌)』 「효자(孝子)」에 의하면 “효자 송한문은 고려 때 사람으로 어머니가 정신 질환을 앓고 있을 때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여 병을 고치게 하니 조정에서 정려(旌閭)를 내렸다”라고 하였다. 또한 “강계흠은 조선조 사람으로 아버지를 섬김에 효성을 다하였는데...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수곡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심명즙은 청송 심씨(靑松沈氏)이며, 자는 명서(明瑞)이고 호는 수은(藪隱)이다. 정려기에 의하면 아버지의 목 뒤에 종기가 나자 입으로 빨아서 한 달여 만에 낫게 하고 어머니의 상중에 있을 때 성심을 다하여 마을 사람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지극한 효심으로 1889년 효자 정려와 함께 동몽교관(...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운곡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독촌공(獨村公) 조종영(趙宗榮)은 단종(端宗)[1452~1455] 때 생육신 어계(漁溪)조려(趙旅)의 후손으로 학문과 행실이 두터웠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가 살아 계실 때는 물론이고 돌아가신 후에도 변함이 없었다. 이러한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정려각을 세웠다. 오비각(五備閣)은 운곡...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각. 1677년(숙종 3) 효성이 지극한 한극검(韓克儉)은 병중에 있는 아버지가 겨울에 생 대추를 먹고 싶어하자 잎이 없는 대추나무 아래에서 3일간 기도한 끝에, 지극한 효심에 감동하여 대추가 열릴 만큼 효성이 깊었다고 한다. 한극검 정려각(韓克儉旌閭閣)은 함안군 법수면 윤내리 윤외 마을 남쪽에 위치한 낮은...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검안리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조선 후기 의병장 이령(李伶)의 호는 충순당(忠順堂)이다. 1541년(중종 36) 함안 검암에서 태어나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김해성 싸움에서 동문장으로 분전하다가 순절하였다. 이령의 업적을 인정한 영남 사림에서 나라에 지속적으로 제청하여 정려각이 건립되었다. 함안 검암리 충순당 정려각(...
사당·재실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실. 경모재(敬慕齋)는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 하림 마을 흠골에 위치한다. 경모재는 1798년에 건립되었다.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팔작지붕 건물이다. 기단은 장대석을 2벌 쌓기 하였고, 초석은 비교적 평평한 자연석 돌을 사용하였다. 간살잡이는 중앙 2칸은 대청으로 두고 좌측 2칸, 우...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대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덕암공의 휘(諱)는 조함복(趙咸復)이며 공의 아호(雅號)를 따서 재실은 덕암재(德巖齋)라는 현판을 걸고, 대문에는 염수(念修)라는 현판을 달았다. 덕암재는 함안군 대산면 대사리 사촌 마을 동쪽 끝자락 도로변에 위치한다. 덕암재는 1837년 창건하였으나 화재로 소실되고 1978년 다시...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부봉리에 있는 현대 재실. 모원재(慕遠齋)는 함안군 산인면 부봉리 어연 마을로 들어가는 사거리 입구에서 50m 정도 떨어져 어연 마을 회관과 연접하여 있다. 예전 어연동 동쪽에 있던 처사공(處士公)이병(李炳)의 재실(齋室)은 6·25 전쟁으로 소실되고 현재 건물은 1990년 이권호가 전통 양식으로 새로 지었다. 본래 재실의 우측으로 1칸...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무릉리에 있는 주세붕의 영정과 유품을 모신 사묘 재실. 무산사(武山祠)는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무릉리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 시대의 유학자인 주세붕(周世鵬)[1495~1544]의 영정과 유품을 모신 사묘 재실이다. 건물은 서당을 중심으로 뒤쪽에 광풍각(光風閣)·무릉사(武陵祠)·장판각(藏板閣)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어 전형적인 서원의 배치...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유원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재실. 와룡재(臥龍齋)는 함안군 칠원면 유원리 유상 마을의 북서쪽 끝에 위치한다. 와룡재는 1565년(명종 20) 건립하였다. 1710년(숙종 36) 중수하였고, 1930년 중건하였다. 정면 7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목조 기와 형태이다. 오른쪽 측면에는 난간을 둔 대청이 놓여 있다. 와룡재...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이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용호사(龍湖祠)는 함안군 칠서면 칠성로영광 교회 남동쪽 구릉 비탈에 위치한다. 용호사는 여평군(驪平君)수제(修齋)진극일(陳克一)을 기리기 위하여 1818년 창건하였다. 사당 앞에 용호 서당을 같이 세웠다. 1897년 진극일이 쓰던 서각(書閣)을 서당으로 개설하였으나 협소하고 낡아서 비바람을 가리...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강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응암재(鷹岩齋)는 함안군 법수면 강주리 음암 새터 마을에서 매바위 마을로 넘어가는 고갯마루에 있다. 1779년(정조 3) 선대의 묘제를 위하여 후손들이 성금을 모아 세웠다. 수차례 보수를 거쳐 근래에 다시 중수하고 주변도 정비하였다. 정면 4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목조 기와 단층 건물이다. 대문은 솟을...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광정리에 있는 고려 시대 사당. 조대 각시 사당에는 관련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고려 시대 조 대감(趙大監)[성명은 조덕(趙德)]이 살았는데, 학문과 도덕을 겸비하였을 뿐 아니라 무예(武藝)에도 정통하여 북방 여진족(女眞族)의 침공을 여러 번 격퇴한 공로로 국가에서 사당(祠堂)을 관로 변(官路邊)에 세워 치제...
근대 문화유산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덕대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건축물. 군북역 창고(郡北驛倉庫)는 함안군 군북면 중암7길 46[덕대리 14-6]에 있다. 군북역 창고는 1923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대한 통운 군북 출장소 창고로 이용되고 있다. 표준 설계 되었으며 시공자는 알 수 없다. 연면적 및 건축 면적은 165.29㎡이며, 지상 1층 건축물이다...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원북리와 진주시 이반성면 평촌리를 연결하는 일제 강점기 경전선 터널. 경전선(慶全線)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한 철도라는 뜻에서 두 도의 첫 글자를 따서 경전선이라 부른다. 소어석 터널은 함안군 군북면 원북리와 진주시 이반성면 평촌리에 걸쳐 있다. 소어석 터널은 1923년 12월 1일 개통하였으며, 수리 기록은 없다...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건축물. 수리 조합 관사(水利組合官舍)는 두 가옥으로 나뉘어 이행수 가옥은 함안군 가야읍 가야5길 21[말산리 456-11], 정환철 가옥은 함안군 가야읍 가야5길 21-1[말산리 456-10]에 있다. 수리 조합 관사는 현재 이행수 가옥과 정환철 가옥으로 바뀌어 있다. 이행수 가옥은 2000년대 판...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역사. 함안역(咸安驛)은 함안군 차량 등록 사업소로 바뀌어 함안군 가야읍 가야12길 12[말산리 58-2]에 있다. 함안역은 경전선(慶全線) 중 마산과 진주를 잇는 진주선 구간에 위치한 주요 역사로, 현재 경전선이 폐선되며 역사(驛舍)로서 기능은 상실하였다. 1923년 12월 1일 보통 역으로 영업을...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와 산인면 송정리를 연결하는 일제 강점기 철도 교량. 함안천교(咸安川橋)는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와 함안군 산인면 송정리를 잇는 다리이다. 함안천교는 1923년 8월 30일 마산중리역에서 함안역으로 이어지는 경전선(慶全線) 철로 연결을 위하여 건립되었다. 하천 개량 사업에 의해 하천이 넓어진 후 2개의 석조 교각을 콘크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