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812
한자 朴尙燁
영어공식명칭 Bak Sangyeop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오곡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주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6년 3월 25일연표보기 - 박상엽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20일 - 박상엽 군북 시장 만세 운동 주도
몰년 시기/일시 1919년 3월 20일연표보기 - 박상엽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7년 - 박상엽 대통령 표창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1년 - 박상엽 건국 훈장 애국장 추서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19년 3월 20일 - 박상엽 군북 시장 만세 운동 주도
출생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오곡리
거주|이주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오곡리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함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함안 지역에서는 서울3·1 운동 이후 독립 시위 현장을 목격한 사람들이 주도하여 3월 19일 함안읍 만세 운동과 3월 20일 군북 시장 만세 운동을 거행하였다. 군북 시장 만세 운동은 조석규(趙碩奎)·조상규(趙相奎)·조용효(趙鏞孝)·이재형(李在衡) 등이 계획하였다. 그들은 미리 태극기를 제작하고 인근 지역에 계획을 알리는 등 사전 준비를 하였다. 1919년 3월 20일 오전 9시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신창 야학교에서 시작되어 군북 장터로 퍼져 나갔다. 오후 1시경 3,000여 명의 군중이 만세 운동을 전개하자 현지 경찰과 마산 중포병 대대 병력들이 공포를 쏘며 시위대를 해산시켰고, 오후 5시경에는 군중이 5,000여 명으로 늘어나 경찰 주재소로 나아갔다. 사태의 급박함을 느낀 일본 경찰이 시위대에 공포를 발사하고 조준 사격을 하면서 현장에서 21명이 순국하고 18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많은 사람이 무참히 구타당하고 체포되었다.

[가계]

박상엽(朴尙燁)[1856~1919]은 아들로 박한조(朴漢祚)·박태조(朴泰祚)·박원조(朴元祚)를 두었다. 손자는 박경실(朴敬實)·박원현(朴元鉉)·박주현(朴周鉉)·박갑술(朴甲戌)·박현석(朴鉉碩)·박상현(朴上鉉)·박종현(朴鍾鉉)·박현식(朴鉉植)·박복현·박동현(朴東鉉)·박철현(朴鐵鉉)이고, 증손은 박태무(朴泰茂)·박태훈(朴泰熏)·박태철(朴泰鐵) 등이다.

[활동 사항]

박상엽은 한학에 정진하여 학덕이 높아 존경받았다.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애국 충절이 남달라 대성통곡하고 식음을 전폐하기도 하였다. 1919년 3월 서울의 만세 시위 소식을 접하고 조성규(趙聖奎)·조상규·조용규(趙龍奎)·조주규(趙周奎)·조용섭(趙鏞燮)·조석규·김우곤(金宇坤) 등과 함께 3월 20일 군북 장날에 거사하기로 모의하고 군북 시장 만세 운동을 준비하였다. 그의 집이 함안군 군북면 오곡리 박씨 집성촌에 있어 군북 시장 만세 운동을 준비하던 백이산서산정과 여항산원효암과 가까워 연락과 필요한 물건 조달을 담당하였다. 즉 태극기를 제작하면서 필요한 양식과 창호지 등을 책임지고 공급하는 일을 하였다. 박상엽군북 시장 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군중 앞에 서서 투석전으로 대항하였고, 일본군이 조준 사격에 64세의 노구를 돌보지 않고 군중을 지휘하고 독려하다 총탄에 맞아 순절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대통령 표창, 1991년 건국 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