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풍속과 생활의 습관을 반영한 놀이. 민속놀이는 옛날부터 민간에 전승되어 오는 여러 가지 놀이로 향토색을 지니며, 전통적으로 해마다 행하여 오는 놀이를 말한다. 서산 지역은 어촌, 농촌, 산촌 등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 모습을 반영한 놀이 문화도 고루 발달하였다. 민속놀이는 성별, 연령, 계절과 실내 또는 실...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나무꾼들이 갈퀴를 던져서 이기고 지는 것을 겨루는 놀이. 갈퀴잔치기는 나무를 하러 다니는 초군(樵軍)들이 심심풀이로 내기를 겸하여 땔나무 한 다발씩을 걸고 승부를 겨루었던 민속놀이이다. 마을에 따라서는 ‘갈퀴던지기’, ‘갈퀴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연탄이나 전기가 보편화되기 이전에는 땔나무에 의지하여 생활을 했다. 특히 밥을 짓거나 온돌을 덥히는...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거북 모양을 만들고 그 속에 2명이 들어가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액운을 없애는 놀이. 거북놀이는 추석 무렵에 아이들이 수수댓잎으로 거북이 모양을 만들어 뒤집어쓰고 집집마다 걸립하며 노는 놀이이다. 과거에 서산 지역을 비롯한 경기도·충청남도 북부 지방에서 한 해 동안 거둔 수확에 감사하며 추석날 저녁에 아이들이 마을 사람들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걸립을...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정해진 놀이판 위에 말을 움직여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고누는 땅이나 마루, 목침(木枕) 등에 놀이판을 그려 놓고 말을 놓거나 옮기며 승부를 겨루는 경합쟁취형 민속놀이이다. 고누의 본디말은 고노이다. ‘고노다’의 명사형인 고노는, 잘되고 못됨을 살피어 점수를 매기는 ‘꼲다’의 옛말이다. 서산 지역에서는 지난날 나이를 불문하고 두루 행해졌던 놀이이다...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나무꾼들이 편을 나누어 공을 치는 놀이. 공치기는 각자 작대기를 가지고 두 패로 편을 갈라 나무 공을 상대편의 진영으로 쳐내어 승부를 겨루는 편놀이이다. 오늘날의 필드하키와 흡사한 놀이로써 산으로 땔나무를 하러 가거나 꼴을 베러 다녔던 초군들 사이에서 널리 성행했던 놀이이다. 마을에 따라서는 ‘장치기’라고도 한다. 공치기는 이미 삼국 시대부터 전승...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즐기던 민속놀이. 길쌈놀이는 서산 지역을 비롯한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지에서 음력 7월~8월 사이에 부녀자들이 삼을 삼으면서 노래도 부르면서 흥겹게 일하는 형태의 놀이이다. 추석 전후에는 부녀자들이 한데 모여서 삼을 삼을 때 노래를 부르며 흥겹게 일한다. 이때 길쌈내기를 하는데, 진 사람은 맛있는 요리를 장만하여 흥겨...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여자아이들이 벌이는 일종의 무당 놀이. 꼬대각시는 춘향아씨놀이와 함께 접신(接神) 놀이의 하나로서 지난날 여자들이 꼬대각시로 선정된 아이로 하여금 신이 들리게 하여 놀리는 전래 놀이이다.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이나 명절에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꼬대각시 놀이를 하는데, 혼인을 하지 않은 15~16세의 여자아이들 사이에서 널리 행해졌...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에서 어린이들이 미끄럼을 타는 데 쓰인 놀이 기구. 나무세발구르마는 언덕이나 비탈진 곳에서 나무로 만든 세발구르마를 타면서 노는 일종의 미끄럼 타기이다. 평지에서는 한 사람이 뒤에서 밀거나 앞에서 끈을 매달아 잡아당기며 세발구르마를 타기도 했다. 1950년대 후반까지 아이들 사이에서 널리 행해졌으며,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비닐 등을 이용하여 경사면에...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낫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놀이. 낫치기는 주로 농촌 청년들이 함께 나무를 하러 가서 심심할 때 낫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내기를 하며 즐기던 경합쟁취형 민속놀이이다. 낫치기는 갈퀴잔치기와 동일한 원리의 놀이이다. 즉 갈퀴잔치기가 갈퀴를 집어던져서 승부를 가르는 놀이라면, 낫치기는 규칙에 따라 낫을 던져서 바닥에 제대로 꽂히는 사람이 승자가 된다. 낫치...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농번기 또는 음력 1월 1일 액막이를 위해서 노는 풍물놀이. 농악은 농민들이 김매기·논매기 등 농사를 지을 때 고된 노동의 신명을 돋우기 위한 풍물놀이이다.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는 농악을 치는 풍물패가 조직되어 마을과 집집을 돌면서 액풀이나 안택을 해준다. 이들을 ‘걸립패’라고도 부른다. 남자가 여장을 하고 상쇠를 비롯한 단원이 고깔을 쓰고 무동...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등을 구부리고 있는 술래를 뛰어넘으며 1등의 주문을 따라하는 놀이. 대한말은 성의 구분이나 계절에 관계없이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들 사이에서 널리 행해지는 놀이이다. 5~10명의 아이들이 가위·바위·보를 해서 1등부터 꼴찌까지 순서를 정한다. 이때 꼴찌를 한 아이는 술래가 되고, 나머지 아이들은 차례로 술래의 등을 뛰어넘으면서 일등이 지시하는 대로...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봄철 김매기 때 행해지던 민속놀이. 두레싸움은 두레기를 매개로 봄철 김매기 때 두레 조직 간에 일어나는 다툼이다. 두레싸움은 김매기철에 두 마을의 두레패가 농기를 들고 이동을 하다가 마주쳤을 때 서로 먼저 인사를 하고 길을 트라며 시비를 벌이다가 일어나게 된다. 예전에 두레 조직은 농기를 만든 연원이나 반상에 따라 으레 형 두레와 아우 두레로 서열...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아이들이 돌을 차면서 하는 놀이. 뒷목차기는 운동장이나 공터에 여러 개의 칸을 그려 놓고 아이들이 ‘목자’로 불리는 작은 돌을 앙감질로 차면서 놀이판을 통과하는 민속놀이이다. 마을에 따라서 이를 ‘목자놀이’, ‘포도 따먹기’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뒷목차기는 남녀 아이들이 모두 할 수 있지만 주로 여자아이들이 많이 즐기는 놀이이다. 놀이의 도구는 ‘...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여성들이 굴을 따며 즐기는 놀이. 등바루놀이는 음력 3~4월에 날을 택해 여성들이 흥겹게 굴을 따며 일하는 형태의 놀이이다. 이를 ‘등빠루놀이’라고도 한다. 등바루의 어원은 ‘등불을 밝힌다.’ 혹은 ‘등불을 켜들고 마중 나온다.’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실제 등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등불과 관련된 어원은 근거가 미약하다. 등바...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바닥에 선을 그린 뒤 돌을 놓고 발로 차서 겨루는 놀이. 목자치기는 땅에 놀이판을 그린 다음 돌을 던져 놓고 발로 차서 한 칸씩 움직여 단을 완성하고, 나중에 단이 많거나 땅을 많이 차지하면 이기는 신체단련형 민속놀이이다. 이를 ‘돌차기’라고도 한다. 돌차기는 전국적인 놀이의 명칭이고, 목자치기는 서산 지역에서 주로 불리는 명칭이다. 목자치기는 뒷...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두레의 김매기와 두레싸움, 기 세배 등을 재구성한 놀이. 서산 용대기놀이는 두레가 났음을 알리는 두레고사와 김을 매는 과정, 그리고 맞두레가 났을 때의 두레싸움 및 승부가 난 뒤에 형 두레와 아우 두레가 서로 기 세배를 하며 화합을 다지는 풍물놀이 등을 민속놀이로 재구성하여 연출한 것이다. 예전에는 김매기철이 도래하면 마을마다 두레를 조...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어송리 숫돌재마을과 샘골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속놀이. 서산 장치기는 농부들이 나무를 하기 위해 산에 가다가 양지(陽地) 바른 곳에서 쉬면서 추위를 이기고 여가를 이용하기 위해 자연 발생적으로 시작된 놀이이다. 서산 장치기는 정초(正初) 또는 두레 일을 하다가 논바닥, 묵밭, 얼음판 또는 넓은 잔디밭 등에서 윗마을 아랫마을 두레꾼으로...
-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음력 1월 15일과 2월 1일에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를 재구성하여 연출한 민속놀이. 서산볏가릿대놀이는 서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볏가릿대 세우기와 화간제(禾竿祭) 등을 민속놀이로 재구성한 것이다. 서산볏가릿대놀이는 1985년 강원도 강릉에서 열린 제26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충청남도 대표로 출연하여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면서 전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긴 막대기로 작은 막대기를 치거나 튀기면서 노는 놀이. 자치기는 정해진 순번에 따라 긴 막대기[자 혹은 채]로 짧은 막대기[메뚜기 혹은 토끼, 땡공]를 쳐서 날아간 거리를 재어 승부를 정하는 민속놀이이다. 남자, 여자 구분 없이 청소년들 사이에서 두루 행해졌던 놀이로서, 주로 3~5명이 두 패로 편을 갈라 승부를 겨루게 된다. 이를 메때기치기, 토...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양반집 자제들이 즐겨 하던 일종의 윷놀이. 종경도놀이는 말판에 정1품에서 종9품에 이르는 문무백관의 관직명을 차례로 적어 놓고 통윷을 던져 나온 숫자에 따라 말을 놓아 하위직부터 승진하여 영의정을 거쳐 봉조하(奉朝賀)에 먼저 오르는 사람이 이기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승경도(陞卿圖)놀이’라고도 한다. 종경도는 조선 시대 양반의 자제나 부녀자들이 남...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아이들이 신을 불러서 춤추고 노는 놀이. 춘향아씨놀이는 15세 안팎의 여자아이들이 음력 정초에 날씨가 춥고 특별히 다른 놀이를 하기 어려울 때 방안에 모여서 했던 일종의 접신(接神) 놀이이다. 여자아이들이 대개 음력 정월 대보름 때 방안에 모여 먼저 가위·바위·보로 술래 한 사람을 정한다. 이때 술래가 된 아이는 두 손을 펴서 마주하고 눈을 감고...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에서 두 패로 편을 정한 뒤에 서로 탈락시키면서 노는 놀이. 호랭이 장난은 아이들이 두 패로 편을 정하고 나무나 기둥을 이용하여 자기의 진으로 삼은 뒤에 상대의 진을 손으로 찍거나 상대편을 모두 탈락시키면 승부가 나는 경합형 민속놀이이다. 마을에 따라서는 이를 ‘진또리’, ‘김또리’, ‘진뺏기’ 등이라고도 한다. 놀이를 하는데 특별한 도구는...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백중 무렵에 논매기를 끝마치고 노는 놀이. 호미씻이는 세벌 김매기가 끝난 직후인 음력 7월 7일 칠석이나 음력 7월 15일 백중에 농사일을 어느 정도 끝내 놓고 그동안 수고한 일꾼들을 하루 쉬게 하기 위해서 벌이는 놀이판이다. 김매기를 모두 마쳤으니 이제 더 이상 호미를 쓸 일이 없다하여 호미씻이라고 불린다. 1930년대의 조사 자료인 『조선의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