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200595 |
---|---|
한자 | 松圃集 |
영어공식명칭 | Songpojip |
이칭/별칭 | 『송포 문집(松圃文集)』,『송포 선생 문집(松圃先生文集)』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권난희 |
1916년에 간행된 함안 출신의 유학자 이병일의 시문집.
이병일(李昺一)[1801~1873]의 본관은 성산(星山)이며, 자는 대숙(大淑), 호는 송포(松圃)이다. 일찍이 강재(剛齋)송치규(宋穉圭)에게 나아가 배우기를 청하자 『논어(論語)』에 나오는 “날이 추워진 뒤에라야 송백이 늦게 시듦을 안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也]”의 뜻을 취하여 송포(松圃)라는 호를 지어주었다고 한다. 만년에는 은둔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송포집(松圃集)』은 아들 이훈(李壎)이 아버지 이병일의 시문을 모아 1916년에 간행하였다. 『송포 문집(松圃文集)』, 『송포 선생 문집(松圃先生文集)』이라고도 불린다.
4권 2책의 목판본이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雙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상 삼엽 화문 어미(上三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가로 21.1㎝, 세로 31.5㎝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6.2㎝, 세로 22.1㎝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주(註)는 쌍행(雙行)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송포집(松圃集)'으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1~2에 사(詞)·부(賦)·가(歌)와 시(詩) 303수가 실려 있는데, 주로 풍경을 읊은 서경시로 속기(俗氣)가 없어 청순하다고 평가된다. 권3에는 서(書)·서(序)·기(記)·발(跋)·명(銘)·찬(贊)·축문(祝文)·제문(祭文)·행장(行狀)·전(傳)·잡저(雜著)가 있다. 권4는 부록(附錄)인데 노사(蘆沙)기정진(奇正鎭) 및 제현들의 증시(贈詩)와 가장(家狀)·행장·묘갈명(墓碣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는 기정진의 손자 기우만(奇宇萬)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노근수(盧近壽)·이교직(李敎直)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19세기 초 지방 유학자의 문체와 관심 분야에 대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