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544
한자 大笑軒集
영어공식명칭 Daesoheonjip
이칭/별칭 『대소헌 일고(大笑軒逸稿)』,『대소헌 선생 일고(大笑軒先生逸稿)』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영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769년연표보기 - 『대소헌집』 편찬
간행 시기/일시 1769년연표보기 - 『대소헌집』 간행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소장처 전남 대학교 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
소장처 한국 고전 번역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길 1[구기동 125-1]
성격 문집
저자 조종도
편자 조휘진
간행자 조휘진
권책 3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0.0×31.3㎝|16.4×22.0㎝[반곽]
어미 상하 이엽 화문 어미(上下二葉花紋魚尾)
권수제 대소헌 선생 일고(大笑軒先生逸稿)
판심제 대소헌 일고(大笑軒逸稿)

[정의]

1769년에 간행된 함안 출신의 유학자 조종도의 문집.

[저자]

조종도(趙宗道)[1537~1597]의 본관은 함안(咸安)이며, 자는 백유(伯由), 호는 대소헌(大笑軒),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원북리(院北里)에서 태어났다. 남명(南冥)조식(曺植)에게 수학하였다. 노진(盧禛), 임훈(林薰), 임운(林芸), 김성일(金誠一), 유성룡(柳成龍) 등과 교유하였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고, 정유재란 때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순사(殉死)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대소헌집(大笑軒集)』은 후손 조징성(趙徵聖)과 그의 아우 조징천(趙徵天), 조숙(趙璹), 조휘진(趙輝晉) 등이 차례로 조종도의 유문을 정리하였는데, 최종적으로 1769년 조휘진이 간행하였다. 서문(序文)은 1769년 후손 조휘진의 요청으로 채제공(蔡濟恭)이 지은 「대소헌 선생 집서(大笑軒先生集序)」, 1747년 조임도(趙任道)의 5세손 조화세(趙華世)의 요청으로 이광정(李光庭)이 지은 「대소헌 선생 일고서(大笑軒先生逸稾序)」, 1693년 조숙의 요청으로 유명천(柳命天)이 지은 「대소헌 선생 집서」, 조징성(趙徵聖)과 아우 조징천의 요청으로 한몽삼(韓夢參)이 지은 「대소헌 선생 집서」가 순서대로 실려 있다. 『대소헌 일고(大笑軒逸稿)』, 『대소헌 선생 일고(大笑軒先生逸稿)』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3권 1책의 목판본이다. 판식은 사주 단변(四周單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상하 이엽 화문 어미(上下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가로 20.0㎝, 세로 31.3㎝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6.4㎝, 세로 22.0㎝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권수제는 '대소헌 선생 일고(大笑軒先生逸稿)', 판심제는 '대소헌 일고(大笑軒逸稿)'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 전남 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고, 한국 고전 번역원에서 한국 문집 총간 47로 영인한 것이 있다.

[구성/내용]

서(序), 세계(世系), 연보(年譜), 권1, 권2, 권3 순으로 되어 있다. 권1에는 시(詩) 11수, 간독(簡牘), 제문(祭文), 묘표(墓表), 부(賦), 책(策) 및 임진왜란 때 창의문(倡義文)이 잡저(雜著)에 실려 있다. 권2는 부록으로, 한몽삼이 지은 행장(行狀), 조태동(趙泰東)이 지은 시장(諡狀), 허목(許穆)이 지은 신도비명, 윤기경(尹基慶)이 지은 비음기(碑陰記), 이광정이 지은 묘표(墓表)가 실려 있다. 권3도 부록으로, 김우옹(金宇顒)·조임도 등이 지은 만사(挽詞)와 정경운(鄭慶雲) 등이 지은 제문 및 유성룡과 조임도가 지은 「조대소헌전(趙大笑軒傳)」, 「황석산성 사적(黃石山城事蹟)」, 시호를 청하는 소(疏) 등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대소헌집』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순절한 경상남도 함안 출신 유학자 조종도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