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200501 |
---|---|
한자 | 儉岩里 遺蹟群 |
영어공식명칭 | Archeological Site in Geomam-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 726-1|검암리 656-3|검암리 24|검암리 681|검암리 706 |
시대 | 선사/청동기,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홍성우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생활 유적과 삼국 시대 덧널무덤이 혼재한 유적군.
검암리 유적군(儉岩里遺蹟群)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 726-1번지와 검암리 656-3번지, 검암리 24번지, 검암리 681번지, 검암리 706번지에 위치한다. 동지산(冬只山)[216.7m]의 서북쪽 구릉 말단부에 해당한다. 현재 유적의 대부분은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며 곳곳에 민묘가 자리하고 있다.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2006년 지표 조사에서 청동기 시대와 삼국 시대의 많은 유물이 채집되었다.
밭으로 개간된 곳에서 다량의 유물이 채집되었다. 유물은 민무늬 토기를 비롯한 회청색 경질 토기편과 기와편 등이다. 특히, 검암리 가마터 인근과 묘역에서 유물이 집중 채집되었는데, 최근 조성된 밭 인근에서는 단조 쇠도끼[단조철부(鍛造鐵斧)] 1점도 채집되었다. 삼국 시대의 토기편들은 삿무늬 항아리편[승석문호편(繩蓆文壺片)]과 큰항아리편[대호편(大壺片)], 굽다리 접시편[고배편(高杯片)]이 주를 이룬다.
검암리 유적군은 선사 시대 이래 함안 가야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곳으로 아라가야의 전신을 이해할 수 있는 유적으로 평가된다. 채집 유물을 통해서 볼 때, 청동기 시대의 생활 유적과 삼국 시대의 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이 혼재하고 있는 유적으로 판단된다. 대단위 유적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