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효산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654
한자 曉山集
영어공식명칭 Hyosanjip
이칭/별칭 『효산 문집(曉山文集)』,『효산 선생 문집(曉山先生文集)』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구경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11년연표보기 - 『효산집』 효산정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효산집』 중간본 간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효산집』 경인 문화사 영인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효산집』 한국 고전 번역원 영인
소장처 한국 고전 번역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길 1[구기동 125-1]
소장처 경상 대학교 문천각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가좌동 277-4]
간행처 효산정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성격 문집
저자 이수형
편자 이규호|이수악
간행자 이규호
권책 5권 2책[초간본]|11권 3책[중간본]
행자 10행 20자
규격 20.0×31.0㎝[초간본]|20.1×30.9㎝[중간본]
어미 상하 내향 이엽 화문 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효산 문집(曉山文集)
판심제 효산집(曉山集)

[정의]

1911년에 간행된 함안 출신의 유학자 이수형의 문집.

[저자]

이수형(李壽瀅)[1837~1908]의 본관은 재령(載寧)이며, 자는 사징(士澄), 호는 효산(曉山)이다. 아버지는 이유환(李有煥), 어머니는 장도(張翿)의 딸인 인동 장씨(仁同張氏)이다. 생부는 이유주(李有柱)이고, 생모는 정익선(鄭益善)의 딸인 해주 정씨(海州鄭氏)이다. 1864년 증광시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871년 서원 철폐령으로 함안군의 도림 서원(道林書院)이 훼철될 적에 서원의 자재를 사적으로 취하려고 하는 군수를 저지하다 모함을 받고 무주(茂州)로 귀양을 갔다가 1년 뒤 해배되었다. 함안에 있는 이황(李滉)과 이현일(李玄逸)의 유적지에 단(壇)을 만들어 선현을 추앙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효산집(曉山集)』이수형의 손자 이규호(李圭浩)가 이훈호(李熏浩)에게 가장(家狀), 이수악(李壽岳)에게 묘갈명(墓碣銘), 김도화(金道和)에게 서문(序文)을 받아 1911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1987년 함안군효산정(曉山亭)에서 초간본에 수록되지 않았던 만시(挽詩)와 제문(祭文), 「백운래 홍첩(白雲來鴻貼)」을 합쳐 11권 3책으로 영인하였다. 1999년 경인 문화사에서 초간본을 영인 간행하였고, 한국 고전 번역원에서도 초간본을 저본으로 영인 간행하였다. 『효산 문집(曉山文集)』, 『효산 선생 문집(曉山先生文集)』이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초간본은 5권 2책으로, 책 크기는 가로 20.0㎝, 세로 31.0㎝이다. 중간본은 11권 3책으로, 책 크기는 가로 20.1㎝, 세로 30.9㎝이다. 판심은 상하 내향 이엽 화문 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권수제는 '효산 문집(曉山文集)', 판심제는 '효산집(曉山集)'으로 되어 있다. 한국 고전 번역원, 경상 대학교 문천각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을 시작으로, 권1에 부(賦) 1수, 시(詩) 150제(題), 권2에 시 193제, 권3에 소(疏) 3편, 서(書) 56편, 권4에 서(書) 49편, 잡저(雜著) 3편, 서(序) 9편, 권5에 기(記) 17편, 발(跋) 8편, 송(頌) 1편, 명(銘) 1편, 상량문(上樑文) 3편, 축문(祝文) 3편, 제문(祭文) 4편, 권6에 애사(哀詞) 9편, 묘갈명 4편, 권7에 행장(行狀) 10편, 전(傳) 4편이 실려 있고, 권8 부록에는 이수악의 묘갈명과 이훈호의 행장이 실려 있다. 중간본은 이상의 내용과 동일한데, 뒤에 권9 부록에 190명의 만시(輓詩), 권10 부록에 제문 45편과 만시 2편, 유집을 교정할 때 지은 차운시(次韻詩) 6수가 수록되었고, 권11 부록에는 「백운래 홍첩」 전문 및 「효산정 상량문」, 「효산정기」, 「효산정 중건기」가 실려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