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어계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612
한자 漁溪集
영어공식명칭 Eogyejip
이칭/별칭 『어계 선생집(漁溪先生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현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742년연표보기 - 『어계집』 편찬
편찬 시기/일시 1901년연표보기 - 『어계집』 속집 편찬
간행 시기/일시 1742년연표보기 - 『어계집』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01년연표보기 - 『어계집』 속집 간행
소장처 한국 고전 번역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길 1[구기동 125-1]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소장처 경상 대학교 문천각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가좌동 277-4]
성격 문집
저자 조려
편자 조영석|조석규
간행자 조영석|조석규
권책 2권 3책
행자 9행 16자
규격 15.2×20.5㎝[반곽]
어미 상흑 어미(上黑魚尾)
권수제 어계 선생집(漁溪先生集)
판심제 어계 선생집(漁溪先生集)

[정의]

1901년에 간행된 함안 출신의 유학자 조려의 문집.

[저자]

조려(趙旅)[1420~1489]의 본관은 함안(咸安)이며, 자는 주옹(主翁), 호는 어계(漁溪)이다. 시호는 정절(貞節)이다. 김시습(金時習)과 교유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조려의 손자 조순(趙舜)[1467~1529] 형제가 1516년 강혼(姜渾)의 서문을 붙여 조부 조려의 유집을 판각하였고, 이를 관아재(觀我齋)조영석(趙榮祏)[1686~1761]이 오류를 바로잡고 편차를 정리하여 1742년 『어계집(漁溪集)』을 간행하였다. 여기에 후손 조석규(趙錫奎)가 『생육신집(生六臣集)』에 실리지 않은 조려의 유시(遺詩)와 실적(實蹟)을 원집에 덧붙여 1901년 『어계집』 속집을 간행하였다. 『어계 선생집(漁溪先生集)』이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3권 2책의 목판본이다. 판식은 사주 단변(四周單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상흑 어미(上黑魚尾)이다. 반곽의 크기는 가로 15.2㎝, 세로 20.5㎝이다. 1면 9행에 1행의 자수는 16자이다. 주(註)는 쌍행(雙行)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어계 선생집(漁溪先生集)'으로 되어 있다. 현재 한국 고전 번역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경상 대학교 문천각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서(序), 권1, 권2, 발(跋), 속집 서, 권3, 속집 발 순으로 되어 있다. 서문에는 1742년 박필순(朴弼周)이 지은 글과 1516년 강혼(姜渾)이 지은 글이 실려 있는데, 끝에 조영석(趙榮祏)이 서문을 보충하는 지(識)가 있다. 권1은 모두 시(詩)로 오언 절구 3수, 칠언 절구 26수, 오언 율시 5수, 칠언 율시 9수, 칠언 고시 2수가 실려 있다. 권2는 부록으로 성문준(成文濬)이 지은 전(傳), 윤선거(尹宣擧)가 지은 「노릉지전(魯陵志傳)」, 이미(李薇)가 지은 묘갈명(墓碣銘), 조영석이 지은 묘표(墓表) 및 축문(祝文)과 상량문(上樑文) 등이 실려 있다. 발문은 조영석이 지었다. 속집의 서문은 송병선(宋秉璿)이 지었다. 속집에 해당하는 권3은 유시(遺詩) 4수와 부록(附錄)으로 원집에 실리지 않은 것을 모은 것인데, 교유 인물인 유경(柳輊)과 김시습의 시를 비롯한 생육신을 모신 「팔현사(八賢祠)」 등의 사적과 봉안문 등이 실려 있다. 속집의 간행 경위를 적은 발문은 1901년 이종기(李種杞)가 지은 것과 1900년 조성가(趙性家)가 지은 것이 있다.

[의의와 평가]

『어계집』은 함안의 대표적 인물 및 생육신 관련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