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566
한자 梅竹軒集
영어공식명칭 Maejukheonjip
이칭/별칭 『매죽헌 선생 문집(梅竹軒先生文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현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24년 10월 25일연표보기 - 『매죽헌집』 봉산정 간행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간행처 봉산정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파수리
성격 시문집
저자 이명호
편자 이문갑
간행자 이익호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0.8×31.0㎝|16.4×21.0㎝[반곽]
어미 내향 이엽 화문 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내향 흑어미(內向黑魚尾)
권수제 매죽헌 선생 문집(梅竹軒先生文集)
판심제 매죽헌 선생 문집(梅竹軒先生文集)

[정의]

1924년에 간행된 함안 출신의 유학자 이명호의 시문집.

[저자]

이명호(李明怘)[1565~1624]의 본관은 광평(廣平)이며, 자는 양초(養初),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함안 검암리(儉巖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황곡(篁谷)이칭(李偁)이고, 어머니는 박윤수(朴允秀)의 딸인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다. 한강(寒岡)정구(鄭逑)에게 배웠다. 1605년(선조 38) 진사가 되었다. 만년에 매죽헌을 짓고 후학을 가르쳤다.

[편찬/간행 경위]

이칭『황곡집(篁谷集)』이명호『매죽헌집(梅竹軒集)』에는 똑같이 성재(性齋)허전(許傳)[1797~1886]의 서문과 이문갑(李文甲)의 발문이 실려 있는데, 이를 보면 이문갑이 7, 6대조의 문집을 편차를 정하여 동시에 간행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떤 연유인지 몰라도 그 당시에는 문집을 간행하지 못하고, 그 후 이문갑의 손자인 이익룡(李益龍)[1856~1931]과 이익호(李益灝)[1865~1933]의 노력으로 간행된 것 같다. 『황곡집』에는 우산(芋山)이훈호(李熏浩)[1859~1932]의 서문이 하나 더 있는데, 『우산집(芋山集)』에 실린 「황곡 이선생 문집서(篁谷李先生文集序)」에 "후손 익룡과 익호가 선생이 남긴 글을 간행하려고 나에게 잘못이 있는지를 살펴 달라 하였다. 그리고 나에게 서문을 써달라고 했다."는 내용이 있고, 서문 끝에는 "계해류화절(癸亥流火節)"이란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1923년 7월에 썼다는 걸 알 수 있다. 이것으로 보아 이문갑이 『황곡집』『매죽헌집』을 동시에 간행하려 한 뜻을 손자인 이익룡과 이익호가 이어받아 1924년 10월 25일 함안의 봉산정(鳳山亭)에서 『황곡집』을 간행하면서 『매죽헌집』도 간행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매죽헌 선생 문집(梅竹軒先生文集)』이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2권 1책의 목활자본이다. 판식은 사주 단변(四周單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내향 이엽 화문 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와 내향 흑어미(內向黑魚尾)가 혼재해 있다. 크기는 가로 20.8㎝, 세로 31.0㎝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6.4㎝, 세로 21.0㎝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매죽헌 선생 문집(梅竹軒先生文集)'으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권두는 허전이 쓴 서문과 목록이 실려 있다. 권1은 시(詩) 14수, 서(序) 1편, 제문(祭文) 5편, 잡저(雜著) 5편, 비명(碑銘) 1편이 실려 있다. 권2는 부록으로 서독(書牘) 4편, 만사(輓詞) 3편, 제문 2편, 가장(家狀),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여양 서원 봉안문」, 「영양 서원 상향문」이 실려 있다. 권말에는 이문갑이 쓴 발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잡저의 「신산 서원 입규(新山書院立規)」, 「향학 입규(鄕學立規)」, 「교중 입규(校中立規)」 등은 임진왜란을 전후한 서원 및 향교의 운영 방법을 살펴보는 데 참고할 만하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12.31 내용수정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서비스의 관련 항목(이명호)에 근거하여, 본관을 "성주(星州) → 광평(廣平)"으로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