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충청도 연기현에 토착하고 있던 씨족 집단의 성씨.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조선 전기 연기현의 토성(土姓)[지방에 토착하고 있던 재지 씨족집단의 성씨에 대한 총칭]으로 위(魏)·하(河)·전(全)·경(耿)·장(萇)씨, 내성(來姓)[토박이 성씨가 아닌 다른 고장에서 들어온 성씨]으로 서울에서 온 왕(王)씨, 속성(續姓)[이전의 문서에 빠...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충청도 전의현에 토착하고 있던 씨족 집단의 성씨.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조선 전기 전의현의 토성(土姓)으로 이(李)·유(兪)씨가 있고 망성(亡姓)으로 하(河)씨, 차성(次姓)으로 전(全)씨가 각각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 전의현 토성의 수위에 기록되어 있는 이씨는 전의이씨를 지칭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인물조에는 전의이씨에...
성씨
-
김주원을 시조로 하고 김승로와 김오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강릉김씨 송오공파(松塢公派)는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김승로가 고려가 멸망한 직후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으로 입향하였다. 기은공파는 임진왜란 때 김오가 전란을 피해 외향(外鄕)인 연기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으로 이주하였다...
-
이진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강진이씨는 고려 후기 역적으로 몰린 이진(李珍)이 연기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에 입향하면서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연기면의 수산리와 갈운리, 고정리[현 도담동, 아름동] 일대에 후손들이 거주하였다. 이진[1300년대 인물]은 고려 충렬왕조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308년(충선왕...
-
최익후를 시조로 하고 최완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강화최씨는 제정공파의 최완이 16세기 중엽에 처향인 연기현으로 입향하면서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주로 조치원읍 봉산리에 세거하였으며 입향조의 묘소와 후손들의 효열 정려 등 관련 유적이 남아 있다. 강화최씨의 시조는 고려시대의 문신 최익후(崔益厚)이다. 최익후는 문과 출...
-
신수를 시조로 하고 신재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거창신씨는 양간공파의 신재가 1600년대 초에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후손들은 전의면의 관정리·동교리, 전동면 석곡리 등에 살고 있다. 거창신씨(居昌愼氏)의 시조 신수(愼修)[?~1101]는 송나라 사람으로 고려 문종...
-
장정필을 시조로 하고 장하를 중시조로 하며 장효충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결성장씨는 장효충이 16세기 초에 사화를 피해 처향인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노곡리]으로 입향하였다. 후손들은 전의면, 연동면, 연서면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결성장씨의 시조 태사공 장정필(張貞弼)은 태조 왕건을 도왔던 인물로 알려져...
-
김알지를 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주김씨는 태사공파, 판도판서공파, 장군공파, 학은공파 등 여러 계파가 입향하였다. 경주김씨 계파들은 금남면 대박리와 연동면 노송리·내판리·응암리, 전동면 심중리·청람리·송곡리, 전의면 다방리, 부강면 부강리 등지에 세거하여 왔다.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로 전하는 경...
-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며 이응방, 이장준, 이광복, 이영필, 이집상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주이씨는 국당공파와 석탄공파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입향하였다. 주로 연서면 봉암리, 장군면 평기리, 부강면 문곡리, 소정면 고등리, 조치원읍 등지에 세거하였다. 경주이씨 시조는 신라의 건국 신화에...
-
이황을 시조로 하고 이배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고성이씨(固城李氏)는 사암공파 이배가 17세기 초에 이괄의 난과 연루될 것을 우려하여 처향으로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안리가 후손들의 집성촌이다. 고성이씨 시조 이황(李璜)은 중국 한나라 무제 때 군사를 이끌고 우리나라에 왔다가 눌러 살...
-
김흥광을 시조로 하고 김정수, 김종발, 김재윤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광산김씨는 문숙공파와 양간공파 후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문숙공파는 16세기 중엽 김정수가 전의에 처음 거주하기 시작하였고, 양간공파는 18세기 초에 김종발이 이웃 고을 목천에서 처향(妻鄕)[아내의 관향]인 동면으로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
고구려의 온달을 시조로 하고 온신을 중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금구온씨(金溝溫氏)는 생원공파 파조인 온치순이 조선 전기에 소정면 대곡리로 입향하여 거주해 왔다고 전해진다. 금구온씨는 조선 후기에 전의이씨와 통혼하였으며, 묘소도 대곡리에서 확인되고 있다. 금구온씨의 시조는 고구려의 온달(溫達) 장군이고, 온신(溫信)을 중시...
-
유삼재를 시조로 하고 유형무를 파조로 하며 유선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기계유씨는 동정공파 유선이 조선 전기에 연기현에 입향하였으며, 연서면 성제리와 와촌리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유선의 묘소, 재실 경운사, 열녀 부안임씨 정려 등 유적이 남아 있다. 기계유씨는 신라의 아찬(阿飡) 유삼재(兪三宰)를 시조로 한다....
-
김수로왕을 시조로 하고 김희설, 김진현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김해김씨는 안경공파의 김희설과 횡성공파의 김진현이 각각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동교리와 소정면 고등리]에 입향하였으며, 전의면 동교리와 소정면 소정리·고등리 등지에 세거하였다. 시조 김수로왕(金首露王)[?~199]은 가락국의 시조이다. 42년(유리왕...
-
홍은열을 시조로 하고 홍순손, 홍익청, 홍인성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에 남양홍씨는 남양군파와 문정공파가 거주하고 있다. 15세기 중엽 남양군파의 홍순손이 어린 나이에 홀어머니와 함께 외가인 연기현으로 입향하였고, 병자호란 때 홍익청이 처향인 전의현[전의면 서정리]으로 입향하였으며, 금남면 성덕리의 남양홍씨 문정공파는 홍...
-
전득시를 시조로 하고 전춘발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전득시(田得時)를 시조로 하고 전춘발(田春發)[1789~?]을 입향조로 하는 담양전씨는 18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응암리에 터전을 삼아 정착한 이래 2019년 현재까지 후손들이 살고 있다. 담양전씨의 시조 전득시는 전라남도 담양군 출신으로 고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참지...
-
송유익을 시조로 하고 송인남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고 송서(宋瑞)[?~1353]를 파조로 하는 여산송씨 정가공파(正嘉公派)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대리 고소재 마을에 입향한 이래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여산송씨의 시조 송유익은 고려시대에 진사(進士)로서 여산군(礪山君)에 봉하여졌다. 송유...
-
박진승을 시조로 하고 박선일과 박행일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박선일(朴善一)[1628~1708]과 박행일(朴行一)을 입향조로 하는 무안박씨 상서공파(尙書公派)가 16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응암리에 정착하여 2019년 현재까지 세거지를 이루며 살아오고 있다. 무안박씨의 시조(始祖)는 박진승(朴進昇)이다.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
류차달을 시조로 하고 류의관과 류호인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류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고 류의관(柳義寬)과 류호인(柳好仁)을 입향조로 하는 문화류씨 후손이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전리와 성제리에 정착한 이후 집성촌을 형성하며 살아왔다. 문화류씨의 시조(始祖)[한 겨레나 가계에 맨 처음이 되는 조상]는 황해도 유주(儒州)의 호족 류...
-
박언침을 시조로 하고 박건원, 박명, 박승조, 박자동, 박동온, 박치신 부인 청주한씨, 박지오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밀양박씨는 한국의 토착 성씨로,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원조로 하고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한다. 박언침은 신라 경명왕의 맏아들로,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밀양으로...
-
손순을 시조로 하고 손창조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밀양손씨 시조 손순(孫順)의 선계는 신라 개국 당시 사로국 6촌 촌장의 한 사람인 무산대수촌장(茂山大樹村長) 구례마(俱禮馬)이다. 구례마는 박혁거세를 신라의 왕으로 추대하여 개국공신이 되었고, 32년(유리왕 9)에 사성(賜姓)[임금이 공신에게 성(姓)을 내려 주는 일 또는 임금으로부터 성을 내...
-
오현필을 시조로 하고 오유립, 오상건, 오숙노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오현필(吳賢弼)[1175~?]을 시조로 하는 보성오씨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노호리와 전동면 심중리에 정착하였고, 지금까지 부강 지역에서 600년 동안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는 대표 성씨이다. 보성오씨의 시조 오현필은 고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해 화...
-
임계미를 시조로 하고 임난수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임계미(林季美)를 시조로 하고 임난수(林蘭秀)[1342~1407]를 입향조로 하는 부안임씨는 1300년대 후반 600여 년 세거지인 연기군 남면 양화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정착한 이래 전서공파(典書公派)를 형성하여 지금까지 명실공히 세종 지역을 대표하는 성씨이자 유력한 성씨로...
-
최천로를 시조로 하고 최종적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최천로(崔天老)를 시조로 하고 최종적(崔宗迪)을 입향조로 하는 삭녕최씨 사직공파(司直公派) 후손이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에 입향한 이래 지금까지 살고 있다. 시조 최천로는 고려 때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다. 후손 최유가(崔瑜價)는 벼슬이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를 거쳐...
-
배위준을 시조로 하고 배천의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배위준(裵位俊)을 시조로 하고 배유(裵裕)[1403~1472]를 파조로 하는 성산배씨는 배천의(裵天義)[1584~1654]가 16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입향한 이래 후손들이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성산배씨는 성주배씨(星州裵氏)라고도 한다. 시조는 배위...
-
백우경을 시조로 하고 백시유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백우경(白宇經)을 시조로 하고 백시유(白時裕)[1662~1724]를 입향조(入鄕祖)[마을에 들어와 터를 잡은 성씨]로 하는 수원백씨 문경공파(文敬公派)는 1600년대 후반 세종 지역인 장군면 평기리에 입향한 이래 지금까지 일가를 이루며 살고 있다. 수원백씨의 시조 백우경은 중국 당...
-
박영규를 시조로 하고 박안생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박영규(朴英圭)를 시조로 하고 박안생(朴安生)[?~1439]을 입향조로 하는 순천박씨는 1400년대 초반 세종 지역인 전의면 관정리에 입향한 이래 600년 동안을 세거해 온 전의 지역의 대표 성씨이다. 순천박씨의 시조 박영규는 고려 태조를 도운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좌승(三重大匡左...
-
이사고를 시조로 하고 이희와 이용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이사고(李師古)를 시조로 하고 이양소(李陽昭)를 파조로 하는 순천이씨는 1600년대 전반 세종 지역인 전의면 관정리에 입향한 이래 전의면 신흥리와 원성리에 일가를 이루며 살아오고 있다. 순천이씨 시조는 이사고이다. 고려 때 문하시중으로 승평백(昇平伯)에 봉하여져 순천을 관향(...
-
안자미를 시조로 하고 안창과 안윤희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안자미(安子美)를 시조로 하는 순흥안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와 연동면 합강리에 입향한 이래 500여 년 동안 집성촌을 이루며 살아온 유력 성씨이다. 순흥안씨의 시조는 안자미이다. 고려 신종 때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保勝別將)을 지내고 신호위 상호군(神虎衛上護軍)에...
-
맹자를 시조로 하고 맹정섭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맹자(孟子)를 시조로 하고 맹의(孟儀)를 중시조로 하는 신창맹씨는 16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고복리에 묘역을 조성한 이래 후손들이 1800년대 후반에 정착하여 살고 있다. 신창맹씨의 시조는 유명한 사상가 맹자(孟子)이다. 중시조는 맹자의 51세손 맹의로, 고려 충렬왕 때 예부...
-
강호경을 시조로 하고 강진경과 강혁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강호경(康虎景)을 시조로 하고 강지연(康之淵)을 중시조로 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천강씨는 금남면 발산리와 고운동에 입향한 이래 발산파와 연기파를 형성하며 500여 년 동안 집성촌을 이루며 대대로 살아왔다. 신천강씨 시조 강호경은 신라 후기 군인으로, 고려 태조 왕건의 외가 6...
-
이주좌를 시조로 하고 이명홍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이주좌(李周佐)[?~1040]를 시조로 하고 이석번(李碩磻)을 파조로 하는 아산이씨 아성군파(牙城君派)가 1600년대에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문주리 입향 이래 지금까지 살고 있다. 아산이씨의 시조 이주좌는 경주이씨(慶州李氏) 중시조 이거명(李居明)의 5세손이다. 고려 목종 때 과거...
-
신익휴를 시조로 하고 신경환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신익휴(申益休)를 시조로 하고 신간(申幹)을 파조로 하는 아주신씨 직장공파가 1800년대 후반에 세종 지역인 연동면 송용리에 정착하여 살고 있다. 아주신씨는 평산신씨(平山申氏)에서 분관한 성씨이다. 시조는 평산신씨 12세손 신익휴로, 고려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문하시랑(門...
-
권행을 시조로 하고 권은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고 권은(權訔)을 입향조로 하는 안동권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와 청송리 등을 중심으로 번성하여 지금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는 전동 지역의 대표 성씨이자 유력 성씨이다. 안동권씨의 시조는 권행이지만 원래 이름은 김행(金幸)이며, 신라의 왕성(王城)...
-
김숙승을 시조로 하고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고 김방경(金方慶)[1212~1300]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김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소정면 운당리, 연동면 내판리에 정착하여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현재 전서공파(典書公派),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 익원군파(翼元公派) 후손들이 세종특별자치시 전 지역에...
-
이수광을 시조로 하고 이희년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이수광(李秀匡)을 시조로 하고 이인부(李仁富)를 파조로 하는 양성이씨는 1400년대 후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에 정착한 이래 전의면 서정리와 읍내리 등에 옮겨 살면서 양성이씨 이시중파를 형성하였다. 양성이씨 시조 이수광은 송나라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문종 때 삼중대광보국...
-
조잠을 시조로 하고 조존외, 조계원, 조원희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시조 조잠(趙岑)은 고려 때 양주호장(楊州戶長)을 지내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추증(追贈)[종2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던 일]되었다. 조잠의 증손대에 이르러 조계생(趙啓生)을 파조로 하는 정평공파(靖平公派), 조유중(趙惟...
-
허선문을 시조로 하고 허돈, 허징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양천허씨 승지공파(承旨公派)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에 터를 이루었고, 덕천공파(德川公派)와 초당공파(草堂公派)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집현리에 정착한 이래 서로 이웃한 마을에서 집성촌을 이루며 살아왔다. 양천허씨의 시조 허선묵은 가락...
-
김선을 시조로 하고 김천만을 파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김선(金鐥)을 시조로 하고 김천만(金天萬)을 파조로 하는 언양김씨 통정공파(通政公派)가 18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입향한 이래 일가를 이루며 살아오고 있다. 언양김씨의 시조는 김선이다. 신라 경순왕의 일곱째 아들이며 고려 태조의 외손자로, 언양군(彦陽君)에 봉해져 언양...
-
진총후를 시조로 하고 진한번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여양진씨는 집의공파(執義公派) 진한번(陳漢藩)[1526~1572]이 1500년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인 옛 연기군 금남면 반곡리에 입향한 이래 480여 년 동안 세거하며 집성촌을 이룬 세종특별자치시의 대표적인 성씨이다. 여양진씨는 진총후(陳寵厚)를 시조로 한다. 고려 예종...
-
민칭도를 시조로 하고 민후건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여흥민씨는 민후건이 17세기 초반에 연기현 월하방에 입향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흥민씨(驪興閔氏) 시조는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한 민칭도(閔稱道)이다. 민칭도는 공자의 10제자 중 한 사람인 민손(閔損)의 후손으로, 고려 중엽에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
-
김섬한을 시조로 하고 김개신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연안김씨는 김개신이 광해군 때 사화를 피해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에 입향한 것으로 추정되며, 송성리에 후손들이 살고 있다. 연안김씨(延安金氏) 시조는 고려 명종 때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낸 김섬한(金暹漢)이다. 신라 김알지의 후예인 두 왕자가 왕...
-
정의경을 시조로 하고 정현득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연일정씨는 정원공파의 정현득이 임진왜란 때 전의현에 입향한 것으로 추정된다. 무과 집안인 정현득과 후손들의 묘소는 전의면 신정리 운주산에 있다. 연일정씨(迎日鄭氏) 시조인 정종은(鄭宗殷)은 진한(辰韓) 사로(斯盧) 취산진지부(嘴山珍支部) 촌장 지백호(智伯虎)의 원손...
-
천암을 시조로 하고 천만리를 중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입향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영양천씨(潁陽千氏)는 좌윤공파의 통덕랑공파가 부여 은산에서 살다가 금강 수운을 이용한 상업 활동과 파평윤씨와의 혼인을 인연으로 1900년경 남면 연기리로 입향하였다. 영양천씨는 중국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시조 천암(千巖)은 명나라 때 도총장(都總將)과 판도승상(版圖丞...
-
김상을 시조로 하고 김삼섭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예안김씨는 1600년대에 동면 합강리에 입향하여 살기 시작하였으며 입향조는 김삼섭이다. 시조 김상(金尙)은 고려 때 예안(禮安)의 호장(戶長)을 지냈다. 예안의 옛 이름이 선성(宣城)이었기 때문에 선성김씨(宣城金氏)라고도 한다. 동면 합강리 예안김씨 입향조는 좌부승지...
-
이익을 시조로 하고 이영길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예안이씨는 동고파의 이영길이 17세기 중엽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예안이씨는 전의이씨(全義李氏)에서 분적된 성씨이다. 전의이씨 시조인 이도(李棹)의 9세손 이혼(李混)[1252~1312]이 고려 원종 때 과...
-
전유를 시조로 하고 전세승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옥천전씨는 1600년대 후반에 전세승(全世承)이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으며, 세거지인 남면 방축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도담동 일대]에 후손들의 유적들이 있다. 옥천전씨의 도시조는 백제 십제공신 전섭(全聶)이다. 전섭의 27세손 전유(全侑)가 고려 충숙왕 때...
-
이공정을 시조로 하고 이상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우봉이씨(牛峰李氏)는 감찰공파(監察公派) 이상(李翔)[1620~1690]이 17세기 중엽에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우봉이씨의 원조는 신라 때 공신이 된 이두창(李頭昌)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후 후손에 대한 기록이 없어...
-
이반계를 시조로 하고 이한필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이반계(李攀桂)를 시조로 하는 원주이씨 원성군파는 이한필(李漢弼)[1512~?]이 1500년대 지금의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 윗말에 정착한 이래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원주이씨의 시조는 이반계이다. 경주이씨 시조 이알평(李謁平)의 원세손(遠世孫)이며, 고려 문...
-
남민을 시조로 하고 남필복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남민(南敏)을 시조로 하는 의령남씨는 남이웅(南以雄)[1575~1648]의 후손들이 1700년대 중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성강리에 정착한 이래 지금까지 살아오고 있다. 의령남씨 시조 남민은 당나라 사람으로, 본명은 김충(金忠)이다. 신라에 귀화하여 경덕왕 때 남씨 성을 하사받았다....
-
서신일을 시조로 하고 서치운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서신일(徐神逸)을 시조로 하는 이천서씨 문목공파(文穆公派) 후손들이 18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에 입향한 이래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이천서씨는 신라 효공왕 때 아간대부(阿干大夫)를 지낸 서신일을 시조로 한다. 고려시대에 들어와 서필(徐弼)·서희(徐熙)·...
-
채선무를 시조로 하고 채승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채선무를 시조로 하고 채승(蔡昇)을 파조로 한 인천채씨 참의공파(參議公派)가 13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문주리에 입향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합강리로 옮겨 정착하였고 집성촌을 이루며 일가를 형성하였다. 인천채씨 시조 채선무는 고려시대 동지사(同知事)를 지내고 동지추밀원사(同知樞...
-
황경을 시조로 하고 황첩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황경(黃瓊)을 시조(始祖)로 하고 황첩(黃堞)을 입향조로 하는 장수황씨는 1500년대 초반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에 입향한 이래 지금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시조 황경은 통일신라 경순왕의 사위로, 시중(侍中)을 지냈다 한다. 이후 중간 계대가 실전되어 황석부(黃石富)를 1세조로 하...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원룡, 이몽경, 이운망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이한(李翰)을 시조(始祖)로 하는 전주이씨는 1500년대 이후 세종특별자치시 전 지역에 흩어져 살며 집성촌을 형성하여 왔고, 조선의 번성과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세종 지역의 유력한 성씨가 되었다. 전주이씨는 전라북도 전주에서 대대로 살아온 토착 성씨로,...
-
박도를 중시조로 하고 박민헌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박민헌(朴敏獻)을 입향조로 하는 정선박씨 제학공파(提學公派)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에 정착한 이래 사장골 박가라고 불리며 일가를 이루어 살아오고 있다. 정선박씨 족보에 의하면 정선박씨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로 하고 밀성대군 박언침(朴彦忱)의 후손인 박도(朴塗)를 중시조...
-
고을나를 시조로 하고 고여우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고을나(高乙那)를 시조(始祖)로 하고 고여우(高汝雨)를 입향조로 하는 제주고씨 문충공파(文忠公派)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에 정착한 이래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제주고씨는 탐라(耽羅) 개국 설화에 나오는 고을나를 시조로 한다. 시조의 46세손 고말로(高末老)는 고려에 입...
-
안방준를 시조로 하고 안제세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안방준(安邦俊)을 시조로 하고 안제세(安濟世)[1582~1642]를 입향조로 하는 죽산안씨는 1600년대 전후 입향한 이래 후손들이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에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다. 죽산안씨는 계파를 달리하는 구(舊) 죽산안씨와 신(新) 죽산안씨 두 파가 있다. 구 죽산안...
-
하진을 시조로 하고 하왕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하진(河珍)을 시조로 하고 하왕(河瀇)[?~1425]을 입향조로 하는 진양하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와 누리리에 입향한 이래 600여 년 동안을 살아오고 있다. 진양하씨는 삼한시대부터 있었던 성씨라 하나 확실한 연원은 알 수 없다. 고려시대에 와서 하공진(河拱辰)을 시조로 하는...
-
강이식을 시조로 하고 강은재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고 강민첨(姜民瞻)을 중시조로 하는 진주강씨 은열공파(殷烈公派) 후손이 1400년대 초반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용호리에 입향한 이래 600년 동안 세거하면서 진주강씨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진주강씨는 고구려 때 병마도원수를 지내며 공을 세운 강이식을 시조로...
-
류인비를 시조로 하고 류충걸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류인비(柳仁庇)를 시조로 하고 류충걸(柳忠傑)[1588~1665]을 입향조로 하는 진주류씨는 1600년대 전반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입향한 이래 400년에 걸쳐 꾸준히 사족 활동을 펼치면서 일가를 이루었고 지금도 후손들은 지위를 계승하고 있다. 진주류씨는 류정(柳挺)을 시조로 하...
-
정예를 시조로 하고 정윤필, 정업중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진주정씨는 15세기 후반 충장공파의 정윤필이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영당리]에 입향하여 세거하고 있으며 16세기 후반에는 연일파의 정업중이 연기현[현 세종특별자치시 남면 연기리]에 입향하여 세거하고 있다. 진주정씨(晋州鄭氏)의 원류는 신라 6촌...
-
성인보를 시조로 하고 성희, 성중의, 성한취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창녕성씨는 금남면 달전리에 회곡공파 성희가 15세기 중엽, 연서면 와촌리에 동고동파 성중의가 15세기 후반, 연동면 내판리에 상곡공파 성한취가 18세기 중엽에 각각 입향하여 세거해 오고 있다. 창녕성씨(昌寧成氏)는 고려시대 호장(戶長)을 지낸...
-
황충준을 시조로 하고 황신을 기세조로 하며 황박, 황귀하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창원황씨는 전의면 읍내리에 전첨공파 황박이 16세기에, 연기면 연기리에 부사공파 황귀하가 18세기에 각각 입향하여 세거하고 있다. 창원황씨(昌原黃氏)는 본관(本貫)을 같이하면서도 계보(系譜)[족보]를 달리하는 세 파가 있다. 고려조...
-
심홍부를 시조로 하고 심한기, 심익도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청송심씨는 곡산공파 심한기가 17세기 소정면 대곡리에, 인수우윤공파 심익도가 18세기 금남면 석교리에 각각 입향하여 세거하여 오고 있다. 청송심씨(靑松沈氏)는 고려 충렬왕 때 문림랑(文林郞)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낸 심홍부(沈洪孚)를 시조로 한다...
-
곽상을 시조로 하고 곽희태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청주곽씨는 연기군 남면 고정리[현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일대]에 곽희태가 17세기 중엽에 입향하여 세거해 오고 있으며 후손들은 연기파라고도 불린다. 청주곽씨(淸州郭氏)의 시조(始祖)는 신라 헌강왕 때 시중을 지낸 곽상(郭祥)이다. 곽상의 후계 2대가 실전(失傳)[묘지...
-
사요를 시조로 하고 사응헌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청주사씨는 1600년대 후반 동면 내판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사응헌이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으며, 후손들은 연기파라고도 불린다. 청주사씨(靑州史氏)는 중국 산동성 청주 사람인 사요(史繇)를 시조로 하여 산둥성 청주를 관향(貫鄕)[시조(始祖)가 난...
-
양기를 시조로 하고 양의홍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청주양씨는 양의홍이 임진왜란을 피하여 연동면 노송리 가장곡(嘉壯谷)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으며, 후손들은 연기파라고도 불린다. 청주양씨(淸州楊氏)는 중국에서 시작된 성씨로 시조는 후한(後漢) 양진(楊震)의 43세손인 양기(楊起)이다. 양기는 원나라 사람으로 금자...
-
한란을 시조로 하고 한우, 한필적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청주한씨는 청주와 인접한 지역에서 터를 잡아 살고 있다. 정당공파(政堂公派)로 한충의 손자인 한우가 1600년대 초에 전동면 심중리에 입향하고, 문정공파(文靖公派)인 한필적이 동면 응암리에 입향하면서 정당공파와 문정공파들이 청주 지역에 다수 거주하고 있다....
-
윤신달을 시조로 하고 윤려, 윤기환, 윤해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파평윤씨는 연서면 봉암리에 태위공파 윤기환, 전의면 신정리에 소정공파 윤해, 장군면 하봉리에 윤려 등이 입향하여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파평윤씨(坡平尹氏)의 시조 윤신달(尹莘達)은 왕건을 도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워 고려 개국공신 2...
-
신숭겸을 시조로 하고 신준미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평산신씨는 사간공파 신준미가 1519년 현량과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가 발발하자 공주로 낙향하여 금남면 영곡리에 거주하였고 이후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평산신씨(平山申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의 본래 이름은 삼능산(三能山)이며 전라도 곡성(谷城) 출신이다. 태...
-
임팔급을 도시조로 하고 임견미를 시조로 하며 임승번과 임승렬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평택임씨는 임승번, 임승렬 형제가 전라도 옥구를 떠나 연서면 기룡리와 연기면 연기리에 입향하였다. 평택임씨(平澤林氏)는 840~900년경 정치적 화를 피해 당(唐)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온 여덟 명의 한림학사 중 한 명인 임팔급(林八及)...
-
정도정을 시조로 하고 정석숭을 1세조로 하며 정진일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하동정씨는 현감공파 정진일이 17세기 후반 부강면 문곡리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하동정씨는 본관(本貫)은 같지만 시조(始祖)를 달리하는 밀직공 국룡파(密直公國龍派), 정승공 응파(政丞公膺派), 지부사공 손위파(知部事公遜位派)의 세 계...
-
이윤경을 시조로 하고 이계린을 파조로 하며 이여출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한산이씨(韓山李氏)는 호장공계의 공무공파 이여출이 17세기 중엽 세종 지역 눌왕리에 입향하여 후손들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한산이씨는 이곡의 5대조인 이윤경을 시조로 하는 호장공계(戶長公系)와 이한의 5대조인 이윤우[본래 광주이씨 후손]를 시조...
-
조지수를 시조로 하고 조극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한양조씨는 병참공파로 조극이 공주[현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로 입향하였으며 조극의 5세손인 조길환, 조일환 형제의 후손들이 각각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과 연서면에 흩어져 살고 있다. 시조(始祖) 조지수(趙之壽)는 덕원부(德源府) 용진현(龍津縣)에 세거하여 온 토착 사족(士族)[문...
-
오인유를 시조로 하고 오백안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해주오씨는 문양공파인 오백안이 1600년대에 소정면 소정리에 입향하였다. 해주오씨(海州吳氏)는 오인유(吳仁裕)를 시조로 하는 경파와 오현보(吳賢輔)를 시조로 하는 향파의 두 계통이 있다. 오인유는 중국 송(宋)나라의 대학사(大學士)로 984년(성종 3년) 고려에 동...
-
윤군정을 시조로 하고 윤승임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해평윤씨는 문영공파에 속하는 남원공파의 윤승임이 1600년 즈음에 연동면 예양리에 입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승임의 5대조 윤제가 세조의 계유정변 때 난신(亂臣)[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으로 연좌(緣座)되어 안치(安置)[조선시대에 먼 곳에 보내 다른 곳으로 옮기지 못하게...
-
최세기를 시조로 하고 최은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화순최씨는 부정공파인 직장공 최은이 1400년대 후반에 금남면 도암리에 입향하였다. 화순최씨는 도암리에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으며 성덕리, 신촌리, 금천리와 인근의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봉암리 등에도 거주하고 있다. 화순최씨의 시조 최세기(崔世基)는 고려 때 평장사(...
-
황윤보를 시조로 하고 황석남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회덕황씨는 세마공파의 황석남이 1600년대에 역모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난 후 처향(妻鄕)[아내의 관향(貫鄕)]이면서 당시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땅이었던 소정면 소정리에 입향한 것으로 추측된다. 후손들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과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도 거주하고 있으...
-
장유를 시조로 하고 장경지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흥성장씨는 흥덕장씨라고도 불리며, 감사공파의 장경지가 15세기 초에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에 입향하였다. 와촌리의 번암동은 한때 ‘장씨촌’이라고 불릴 정도로 흥성장씨들이 집성촌을 이루었다. 후손들이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도 거주하고 있다. 흥성장씨(興城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