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개항기 전통가옥. 세종 홍판서댁은 안채 대청에 적힌 상량문에 ‘崇禎紀元後四丙寅二月二十四日申時上樑’이라는 기록이 있어 1866년(고종 3)에 지은 집으로 확인된다. 정면 6칸 측면 3칸의 ‘ㄷ’자형 안채와 정면 6칸 측면 2.5칸의 ‘ㄷ’자형 사랑채가 마주 보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정남향의 ‘ㅁ’자형 평면을 구성하며, 사랑채보다...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어서각 역사공원에 있는 조선시대 왕들의 친필이 봉안된 건물. 어서각(御書閣)은 조선의 태조(太祖)[1335~1408], 영조(英祖)[1724~1776], 정조(正祖)[1752~1800], 고종(高宗)[1852~1919]이 직접 쓴 글씨를 모신 서각(書閣)이다. 태조의 친필은 1395년(태조 4) 12월 22일 이성계의 두 번째...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부강초등학교 내에 있는 일제강점기 학교 건물. 부강초등학교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부강초등학교 강당은 근대 교육의 초창기인 1926년에 건축된 학교 건물이다.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조선 후기의 익공식 형태를 잘 반영하여 건축하였다. 강당은 건축 당시의 역사·건축연도·건립동기 등이 기록된 실기(實記)에 의...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사지(寺址) 일원에 위치한 삼층석탑이다. 현재 높이가 1.4m로 보존 상태가 좋지 못하여 기단부를 시멘트로 보수하는 등 본래의 모습은 알 수 없다. 기단부 가운데 복련[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것처럼 그린 연꽃 모양 또는 무늬]이 새겨진 상층갑석 위에 3층의 탑신과 덮개돌이 올려져 있...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전의 비암사 삼층석탑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碑岩寺)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단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1982년에 복원 공사를 하면서 망실된 기단부를 보수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전체적으로 1층 탑신에 비하여 2~3층 탑신의 체감률이 크고, 옥개석 하단 받침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은 비암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조선 후기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의 불전으로, 보물 제2119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길 137[다방리 4] 비암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석종형 부도. 등곡리 부도는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안치한 묘탑으로, 고려 후기부터 건립되어 조선 후기 전국적으로 유행한 석종형(石鐘形) 부도이다. 명문이 없어 부도의 주인공은 알 수 없다. 등곡리 부도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문헌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사찰의 연혁을 확인할 수 없다. 부도 형태로 보아 조...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마을 입구에 있는 선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 있다. 논 한가운데 위치한 선돌[立石]은 높이 220㎝, 너비 40~50㎝, 두께 20㎝ 정도의 크기로 화강석 계통의 자연석으로 되어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또 다른 1기는 높이 215㎝, 너비 60㎝, 두께 20㎝로 논에 있는 선돌과 규모가 비슷하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 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마을에 있는 고인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산10-5에 있다. 국곡리 고인돌은 지석이 외견되는 기반식(南方式) 형태이다. 덮개돌은 가로 195㎝, 세로 215㎝이다. 두께는 27~30㎝이다. 덮개돌 밑에는 몇 개의 고임돌이 보인다. 크기는 50~60㎝이며, 원형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덮개돌의 상면에는...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있는 원삼국시대~백제시대 유적. 나성리 유적은 금강의 북쪽에 형성된 충적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앞서 확인된 유적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시행에 앞서 발굴된 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원삼국시대 널무덤[토광묘(土壙墓)], 삼국시대 백제...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있는 백제의 주거지 유적. 송원리 유적은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서 삼국시대 백제의 대규모 횡혈식석실묘와 석곽묘가 발견된 유적이다.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 시행에 앞서 발견된 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백제 횡혈식석실분·석곽묘·토광묘·주구토광묘·옹관...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 있던 정자의 터. 금벽정(錦壁亭)은 조석명(趙錫命)[1674~1753]이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정자로, 탁금정(濯錦亭)과 같은 장소에 있었다. 금벽정은 10여 년 앞서 탁금정이라 불려지기도 한 곳으로, 1658년 윤선거(尹宣擧)[1610~1669]와 1661년 윤순거(尹舜擧)[1596~1668] 및 1년 뒤 윤선거의...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조선시대 설립된 봉암서원의 터. 봉암서원(鳳巖書院)은 1651년(효종 2)에 건립되어 1665년(효종 6) 연기현에서는 유일하게 사액을 받은 서원이다. 제향 인물은 한충(韓忠), 김장생(金長生),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時烈) 등이었다. 봉암서원은 다른 서원 사우들과 마찬가지로 1864년 대원군의 훼철령으로 훼...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금사리 일대에 분포하는 조선시대 가마터.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와 금사리 일대에는 다수의 가마터가 확인되고 있다. 그 가운데 금사리 일대에서 지표조사 등을 통하여 확인된 가마터는 ‘금사리 금사교 분청사기가마터’, ‘금사리 금사교 백자가마터’, ‘금사리 당재 분청사기가마터’, ‘금사리 감나무골 분청사기가마터’ 등이 있다. 세...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일대에 분포하는 조선시대 가마터. 달전리 가마터는 조선시대 관청에서 운영한 가마가 있던 곳이다. 달전리 가마터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세종골프장 조성사업에 앞서 발견된 유적이다. 숯가마 14기, 재층 1기, 자기가마 1기, 자기가마 퇴적층 2기, 도기가마 3기, 가마 1기, 소성유구 2기,...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 일대에 분포하는 조선시대 가마터.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소재지에서 남서쪽으로 약 4.5㎞ 거리에 송정리 구리골 마을이 나오고, 구리골 마을의 북서쪽으로 송정리 솔치 마을로 넘어가는 곳에 ‘점고개’가 있다. 송정리 점고개 분청사기 가마터는 점고개의 상단부 도로 오른쪽 절개된 사면에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 일대에...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 기와말 마을에 있는 백제시대 유물산포지. 연서면소재지에서 남동쪽으로 약 4㎞ 지점에 연서면 와촌리 기와말 마을이 위치한다. 마을 입구에서 북쪽으로 인접한 지역에 옛 와촌초등학교가 있었으며, 백제토기 출토지는 와촌초등학교 뒤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지막한 능선의 하단부에 해당한다. 현재 유물산포지는 대부분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며, 일부...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가마터.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 일대에는 나발터 토기 가마, 양진터 분청사기 가마, 양진터 청자 가마 등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마터가 여러 곳에 분포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