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633
한자 李翔
영어공식명칭 Yi Sang
이칭/별칭 타우,문목,운거,숙우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20년(광해군 12)연표보기 - 이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74년(현종 15) - 이상 파직
활동 시기/일시 1675년(숙종 1) - 이상 영해에 유배
활동 시기/일시 1680년(숙종 6) - 이상 이조참판이 됨
몰년 시기/일시 1690년(숙종 16)연표보기 - 이상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94년(숙종 20)연표보기 - 이상 특명으로 복관
추모 시기/일시 1699년(숙종 25) - 뇌암서원[문목사] 창건
추모 시기/일시 1717년(숙종 43)연표보기 - 뇌암서원[문목사] 복설
추모 시기/일시 1721년(경종 1) - 이상 관작 추삭
추모 시기/일시 1725년(영조 1)연표보기 - 이상 다시 복관
추모 시기/일시 1788년(정조 12)연표보기 - 이상 이조판서 추증
추모 시기/일시 1813년(순조 13)연표보기 - 이상 시호 ‘문목’ 내려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06년(숙종 32) - 이상 사우 훼철
출생지 이상 출생지 - 서울
거주|이주지 이상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지도보기
유배|이배지 이상 유배지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묘소|단소 이상 묘소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대박마을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문목사[뇌암서원]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사관정길 8-1[관정리 산55-20]지도보기
성격 문인|학자
성별
본관 우봉
대표 관직 이조참판

[정의]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거주한 문인.

[개설]

이상(李翔)은 조선 후기 문인으로, 충청도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일대]에 세거하는 우봉이씨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숙종 대 정치적으로 서인 노론계 입장을 취하다 파직과 복직을 반복하고 끝내 기사환국(己巳換局)[1689년 남인이 희빈장씨의 소생인 원자 정호 세자의 책봉 문제로 서인을 몰아내고 재집권한 일]으로 옥사하였다.

[가계]

이상의 본관(本貫)은 우봉(牛峰), 자는 운거(雲擧)·숙우(叔羽), 호는 타우(打遇)이다. 이상의 아버지는 참의를 지낸 이유겸(李有謙)이다.

우봉이씨전의현의 대표적인 사림 가문으로, 『전성지』(1854)에 의하면 연산군 때 이승건(李承建)이 전의에 터를 잡았다고 전한다. 이상은 이승건의 5세손이다.

[활동 사항]

이상은 김집·송시열·송준길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산림직으로 천거(薦擧)[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을 그 자리에 쓰도록 소개하거나 추천하는 일]되어 조정에 불려간 호서 지역 대표 사림이다.

태어나고 자란 곳은 서울이지만 만년에 전의현 관정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로 옮겨 은거(隱居)[세상을 피해 숨어서 삶]하였다. 관정리에서 지낼 때 현종의 온양온천 행차를 맞아 부름에 응하기도 하였다.

1674년(숙종 1)에 자의대비의 상복을 입는 문제로 제2차 예송논쟁이 일어났을때 대공설을 주장하다가 송시열 등과 함께 파직(罷職)[관직에서 물러나게 함]되었으며, 이듬해 영해(寧海)에 유배되었다.

1680년(숙종 6) 경신환국(庚申換局)[1680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서인에 의해 대거 축출된 사건]으로 서인의 집권이 시작되자 다시 기용된 이상은 이조참판에 올랐다가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재집권하자 1690년(숙종 16) 옥에 갇혀 사망하였다.

이상의 만년 은거지인 관정리에는 이상이 제자들을 가르치던 ‘뇌암서당’ 또는 ‘사관정’이라고 하는 정자가 있었는데 훗날 뇌암서원으로 건립되었다.

[학문과 저술]

이상은 송시열과 김집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저서로는 『타우유고(打遇遺稿)』가 있다.

[묘소]

이상의 묘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다. 『타우선생유고속집』에 의하면 묘비문은 1831년(순조 31)에 송치규(宋穉圭)가 지었는데 비석을 세우지 못하다가 1895년(고종 32) 전의면 관정리 대박동(大朴洞)[박골] 묘소 아래 길목에 세웠다. 묘비의 추기는 송근수(宋近洙)가 짓고 이진옥(李鎭玉)이 썼다.

[상훈과 추모]

1699년에 이상이 제자를 기르던 뇌암서당 터에 사우(祠宇)[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를 짓고 이상을 제향(祭享)[제사를 지냄]하였다.

뇌암서원, 뇌암향사, 뇌암사우, 삼현사, 문목사 등으로 기록된 사우(祠宇)는 1706년 훼철(毁撤)[헐어서 치워 버림]되었다가 1717년 사우(祠宇)를 복설(復設)[없앴던 것을 도로 설치함]하여 다시 제향되었다.

1721년 신축사화[1721년부터 왕위 계승 문제를 놓고 노론과 소론 사이에 일어난 사화]로 이상의 관작(官爵)[관직과 작위]이 추삭(追削)[죽은 사람의 죄를 논하여 살아 있을 때의 벼슬 이름을 깎아 없앰]되었다가 1725년에 복관(復官)되었으며, 1788년 이조판서에 추증(追贈)[종2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던 일]되었다.

1813년에는 ‘문목’이라는 시호(諡號)[제왕이나 재상, 유현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가 내려졌다.

186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뇌암서원도 훼철(毁撤)되었다가 1886년 제사는 계속 모시게 하라는 명이 내려져 부조묘(不祧廟)[불천위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주를 둔 사당]로 이어지게 되었다.

뇌암서원은 사당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문목사로 명칭이 바뀌었다.

현재 문목사에서 제향되고 있다. 문목사는 2014년 9월 30일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37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