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439 |
---|---|
한자 | 洪靌神道碑 |
영어공식명칭 | Hongbo Memorial Ston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산56-4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정기 |
건립 시기/일시 | 1654년(효종 5) - 홍보 신도비 건립 |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585년(선조 18) - 홍보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643년(인조 21) - 홍보 사망 |
현 소재지 | 홍보 신도비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산56-4 |
원소재지 | 홍보 신도비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산56-4 |
성격 | 비 |
관련 인물 | 홍보|김상헌|오준|여이징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비신 너비 98㎝, 높이 245㎝, 두께 33㎝|방형 대좌 너비 180㎝, 높이 70㎝, 두께 153㎝|옥개형 이수 너비 166㎝, 높이 89㎝, 두께 103㎝ |
소유자 | 풍산홍씨문중 |
관리자 | 풍산홍씨문중 |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홍보의 신도비.
[개설]
홍보(洪靌)[1585~1643]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여시(汝時), 호는 월봉(月峰), 시호는 경헌(景憲)이다. 1585년 당시 형조좌랑을 지내던 홍난상(洪鸞祥)[1553~?]과 능성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609년(광해군 1) 진사시에 합격하고 한성부 참군 등을 지낸 후 1615년(광해군 7) 부친상을 치르기 위하여 사직하였다가 광해군의 실정(失政)으로 벼슬을 단념하고 면천으로 내려가 후배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알성문과에 장원한 뒤 전적·수찬·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1627년(인조 5) 원주목사 때 이인거(李仁居)[?~1627]가 광해군의 복위를 꾀하면서 난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한 공으로 소무공신(昭武功臣) 1등에 책록받고 풍녕군(豊寧君)에 봉하여졌다.
1638년 진주사(陳奏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때 3공 6경(三公六卿)들은 모두 자제를 인질로 보내도록 하였으나 이를 어겨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고, 곧 복직되어 의정부 좌참찬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에까지 이르렀다. 1643년(인조 21)년 10월 59세의 나이에 사망하자 왕이 조회를 철회하는 한편 부의를 내리고 영의정 풍산부원군에 증직하였으며, 1809년(순조 9)에 경헌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저서로는 『월봉집(月峰集)』이 있다.
[건립 경위]
1654년(효종 5)에 건립된 신도비는 좌의정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짓고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좌참찬 오준(吳竣)[1587~1666]이 썼다. 당시 신도비의 석재는 경기도 강화에서 서해안을 통하여 금강을 거쳐 운반하였다. 비의 규모가 커서 많은 양민이 부역에 동원되었고, 이로 인하여 죽은 사람도 있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위치]
홍보 신도비는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원당골에 있다. 원당골 입구에서 마을 안쪽으로 300m 정도 떨어진 고갯마루의 중단부에 위치한다. 인근에 홍보 묘소와 묘비가 있다.
[형태]
화강석재를 가공한 복련(覆蓮)[꽃부리가 아래쪽으로 향한 연꽃]이 조각된 너비 180㎝, 높이 70㎝, 두께 153㎝의 방형 대좌 위에 유문암 비신을 세웠다. 비신(碑身)은 너비 98㎝, 높이 245㎝, 두께 33㎝이다. 비신 상단부에 올려진 옥개형의 이수(螭首)는 너비 166㎝, 높이 89㎝, 두께 103㎝의 크기이다.
[현황]
홍보의 신도비와 묘역은 풍산홍씨 후손들에 의하여 잘 관리되고 있다. 홍보 묘소의 묘비는 여이징(呂爾徵)이 찬하고 전(篆)하였으며, 조비(趙備)가 비문의 글씨를 썼다. 묘에는 상석, 향로석, 문인석이 배치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문신 홍보는 이인거가 난을 일으키자 난을 진압하고 원주에서 체포하여 소무공신이 되어 풍녕군에 봉하여진 인물이다. 홍보 신도비는 그가 살아온 시대와 활약상에 대하여 기록되어 있고, 당대 대학자인 김상헌이 글을 지었으며, 대규모의 신도비로서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