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국사봉[전동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047
한자 國師峰[全東面]
영어공식명칭 Guksabong Peak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국사봉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석곡리
해당 지역 소재지 국사봉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석곡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267.1m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석곡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산.

[개설]

국사봉(國師峰)[267.1m]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석곡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동쪽의 송학산과 마주하는 구릉성 산지이다.

[명칭 유래]

국사봉 명칭은 고려 때부터 국사에 도움을 준 산봉이라는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국사봉에는 성, 봉화대, 산신제단, 산제당, 석단, 철마(鐵馬) 등이 있었다고 한다.

일명 국수봉(國樹峰)과 국수봉(國帥峰)이라고 표기된 것이 있으나 국사봉(國師峰)의 오기로 추정된다.

[자연환경]

지질은 흑운모 호상편마암 지역으로 층후(層厚)[어떤 지층의 두께]가 분명하지 않으며, 편마암의 변성 시기에 여러 번의 광역변성작용을 받았다.

국사봉은 차령산맥의 줄기에 속한다. 망덕산-매봉산-망경대-작은 운주산-운주산-작성산-금성산으로 이어지는 차령산맥 주 능선의 지맥이 운주산작성산으로 이어지는 개미고개가 있는 곳에서 조천에 의하여 끊어지고, 국사봉과 송학산으로 이어지는 줄기로 나누어졌다.

산체(山體)[산의 생김새]는 매우 작으며, 거의 봉우리 수준이다.

토양은 자갈이 있는 양토와 사양토(沙壤土|砂壤土)[진흙이 다소 적게 섞인 보드라운 모래 흙]가 주변에 발달하고, 국사봉은 기반암 풍화토인 토산(土山)[돌이나 바위 없이 대부분 흙으로만 이루어진 산]을 이룬다.

[현황]

국사봉전동면의 중부에 있다. 국사봉을 중심으로 하천이 발달하고, 하천 주변에는 비옥한 범람원 충적 평야가 발달하여 있다.

전동면은 세종 지역에서 비교적 산지가 많은 차령산맥이 지나가는 곳으로, 운주산·오봉산·작성산·동림산·이성산·망경산·국사봉·송학산·고려산 등 주요한 산들이 있다.

국사봉의 남쪽에서 동류하는 심천과 북쪽에서 동류하는 조천이 합류하여 남동쪽으로 흐르다 미호천으로 유입한다.

국사봉에 오르기 위해서는 자동차로 국도 제1호에서 청람리석곡리로 진입하여 전동면 청람리 도람말[도리말]에서 오르는 방법, 석곡리 상적골 및 창석곡에서 오르는 방법이 있다.

철도로는 전동역에서부터 송학산을 지나 국사봉에 오르는 방법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