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고창문화대전 > 고창향토문화백과 > 삶의 자취(문화유산) > 기록유산 > 향토지
-
전라북도 고창군의 지리·역사·사회·전승 등에 관한 기록. 향토지는 고문헌과 현대 문헌으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고문헌은 향교지·서원지(書院誌)·현지(縣誌)·사지(祠誌)·사지(寺誌)·읍지(邑誌)·행장(行狀)·금안(襟案)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대 문헌은 정기·부정기 정기 간행물과 마을지·조사 보고서·발굴 보고서·지표 조사 보고서·전집 등을 들 수 있다. 고창 지역에서 발간...
-
1899년 전국 읍지 상송령에 의해 편찬된 전라북도 고창군의 읍지. 읍지는 지리지와 함께 지방사에 대한 유일한 기록물로서, 편찬 당시의 정치·경제·사회·역사·문화·군사 등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바탕으로 편찬된 인문지리서로 각 고을에 대한 백과사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고창군읍지(高敞郡邑誌)』는 정조 대 펴낸 『고창현읍지(高敞縣邑誌)』를 수정 보완하여 편찬한 것으로, 작자 미상...
-
1992년 고창군청에서 고창군의 모든 행정 자료를 집대성하여 간행한 군지. 일제 강점기인 1914년 행정 구역이 개편되면서, 조선 시대의 행정 단위였던 고창현[현 고창읍], 무장현[현 무장면], 흥덕현[현 흥덕면]이 고창군으로 통폐합된 이후 고창군의 전체적인 현황과 역사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할 필요성에 따라 1992년 최충일 군수의 주도 하에 집대성한 군지이다. 『고창군지』의 발간...
-
2003년 고창문화원에서 고창군 자연 마을의 역사와 현황을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 고창군의 14개 읍면을 행정지도, 행정 구역 일람표, 연혁, 마을 유래 별로 정리하였다. 마을 유래에서는 항목을 설기 연대, 설기 성씨, 명칭 변천 과정, 풍수 형국, 위치, 유래, 가구 수, 주요 성씨, 고적·유지, 인구 수 등을 상세하게 정리해 놓은 마을 지명 보고서라 할 수 있다. 고창군에는...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2009년부터 매년 발행되는 마을지. 고창문화연구회에서 2009년부터 매년 고창군의 14개 읍면 중 한두 곳의 법정리를 선정하고 마을의 역사와 지명, 생활, 산업, 인물들을 조사하여 『고창의 마을』이라는 이름으로 간행하고 있다. 세계화·지방화 시대 고창군의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의 문화 인프라 구축과 경험 축적 및 연구 인력을 양성하며, 고창...
-
일제 강점기에 정조 연간 고창현[현 전라북도 고창읍·고수면·아산면 일대]에서 편찬된 『고창현읍지(高敞縣邑誌)』를 필사한 읍지. 읍지는 조선 전기에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 전국적인 관찬 지지(地志)의 편찬을 위한 1차 자료로서 작성되었으나, 조선 후기 들어 지방 각 읍의 현황 파악 및 각종 행정 자료 수집을 위하여 편찬되었다. 『고창현...
-
조선 후기 영조 연간에 무장현[현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간행된 읍지. 기록에 의하면 『무장읍지(茂長邑誌)』는 1544년(중종 39) 무장현감 유희춘(柳希春)이 최초로 간행했다고 하나 판종은 알 수 없다. 이후 1636년(인조 14)에 심제(沈𪗆)가 두 번째 『무장읍지』를 간행했으나 역시 판종을 알 수 없다. 세 번째로 1741년(영조 17)에 역시 무장현감 정권(鄭權)이...
-
2004년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주민지원협의체가 간행한 아산면의 면지. 아산면은 고창군의 주산인 방장산에서 내리뻗은 네 줄기의 산세가 품고 있는 살기 좋은 곳으로, 예부터 훌륭한 인물이 배출되었고, 방장산과 줄포만[곰소만] 사이에 주진천[인천강]을 끼고 있어 사람이 살기에 좋은 고장이다. 아산면에서는 마을의 역사와 자연지리, 지세, 자치행정, 산업경제, 교육문화, 향토문화, 역사...
-
2004년 흥성지발간추진위원회에서 한문을 번역하여 재간행한 흥덕현의 향토지. 『흥성지』는 흥덕현[현 흥덕면]의 역사, 자연지리, 지명, 취락 등을 기록한 지방지이다. 흥덕현은 고부군에 속한 유향으로서 백제시대에 상칠현(上漆縣)이었고, 757년(경덕왕 16)에는 상질현(尙質縣)으로 불렸으며, 1389년(창왕 1)에 흥덕현으로 고쳐서 불렀다. 조선 태종 때에 고창현과 흥덕현이 분리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