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조합 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342
한자 農民 組合 運動
영어공식명칭 Union Movement of Farmer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양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27년 7월 16일연표보기 - 함안 소작인 조합에서 함안 농민 조합으로 개칭하면서 본격적인 농민 운동 시작
발단 시기/일시 1926년 10월 26일 - 함안 청년회에서 활동하던 조진규, 조문극 등이 주촉이 되어 함안 소작인 조합을 결성하면서 함안의 농민 운동 시작
성격 농민 운동
관련 인물/단체 조진규|조문극|조영제|조복래|박개순|양창준|변면섭|안봉중|박승표|조휘식|김진국|이석건|박인호|윤석중|이홍구

[정의]

1927년 이후 경상남도 함안군 지역에서 함안 농민 조합을 결성해 진행한 운동.

[개설]

1920년대 후반 이후 함안군 군북면, 법수면 지역을 중심으로 수리 조합이 만들어지고 관개 시설이 확충되면서 이 지역에서 농민 운동이 활발히 전개된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 함안 지역은 신간회(新幹會)가 해산되면서 농민 조합 운동이 사회 운동의 중심을 이루었다.

[역사적 배경]

1926년 10월 22일 함안 청년회에서 활동하던 조진규, 조문극 외 26명이 가야면말산 서당에서 함안 소작인 조합 결성을 위한 사전 모임을 진행하였다. 이후 10월 26일 같은 장소에서 300여 명이 참석하고 마산의 혜성사와 마산 노동회, 진주 농민 연맹의 참석과 축하를 받으면서 출범하였다. 1927년 2,0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각 리에 지부를 설치하여 노동 야학 운영, 문맹 타파, 농민 훈련을 위해 노력하였다.

[경과]

1926년 10월 26일 함안 청년회에서 함안 소작인 조합이 결성된 후 함안 지역 농민 운동이 시작되었다. 1927년 7월 16일 함안 소작인 조합이 대회를 열어 함안 농민 조합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농민 운동이 본격화 되었다. 함안 농민 조합의 주된 활동은 함안 지역 내 농민 조합 지부 결성이었으며 1931년 3월 10일 함안 농민 조합은 가야 농조 지부, 군북 지부 등을 설치하며 조직을 확대해 나갔다.

함안 농민 조합은 진주 일신 여자 고등 보통학교가 관리하는 토지를 둘러싼 소작권 이동 문제에 관여하여 소작인의 권익을 옹호하였다. 이를 비롯하여 신구 소작인 사이의 소작권 분쟁에 개입하여 농민 조합의 지도부가 검거되는 고초를 겪으면서도 신구 소작인들의 소작권 분쟁 조정에 적극 앞장서 소작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활동하였다. 이런 활동의 연속선상에서 1931년 가을 남해 척식 회사 함안 농장에서 소작인 700명에게 비료 대금을 부당하게 계산하여 폭리를 취하는 일이 발생해 함안 농민 조합에서 중재를 하다가 여러 조합원이 검거되었다. 이때 양창준·변면섭·안봉중·박승표 4인이 검거되었고 양창준은 서울로 압송되었다.

또한 1931년 11월 군북 농민 조합의 간부가 농민에게 지세와 모세를 내지 않도록 선동하였다는 이유로 조영제·조복래·박개순 등이 검거되는 등 조합원의 잦은 검거로 조합 활동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적색 농민 조합 혹은 공작 위원회를 조직하였다는 혐의로 조휘식·박승표·김진국·이석건·조진규·박인호·윤석중·이홍구 8명이 서울로 압송되었다.

[결과]

1935년 이후에 함안 농민 조합에 대한 일제의 대규모 탄압으로 인해 농민 조합 활동이 소강기에 접어들었지만 저항 운동은 이어 갔다.

[의의와 평가]

함안 지역의 농민 조합 운동함안 청년 동맹에서 활동한 이들이 주축이 되었다. 함안 청년 동맹을 이끌던 이들이 함안 농민 조합과 같은 대중적 단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여타의 지역과는 달리 함안 지역에서 항일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과 1920년대 후반 함안 청년 동맹함안 농민 조합에서 성장한 새로운 청년층들이 해방 이후 자주적 민족 국가 수립 운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