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200272 |
---|---|
한자 | 比吏谷所 |
이칭/별칭 | 비사곡소,비사리소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
시대 | 고려/고려,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재현 |
고려 시대와 조선 전기 경상남도 함안군에 설치되었던 특수 행정 구역.
소(所)는 향(鄕)이나 부곡과 더불어 고려 시대에 각 지역에 설치되었던 하층민들의 집단 주거지이었다. 고려 시대 확인 가능한 소는 총 285곳, 경상도 지역은 58곳이다. 그 가운데 함안군에는 다섯 곳이 있고, 칠원현에는 소가 설치되지 않았다. 소의 거주민들은 금·은 등의 광산물, 비단·명주 등의 수공업 제품, 미역·소금 등의 농수산물을 전문적으로 생산하여 관아에 공납하였다. 함안 지역에 산재한 열 곳의 향·소·부곡은 모두 함안군의 외곽 접경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정구(鄭逑)는 『함주지(咸州誌)』에서 함안 지역의 지형을 분석하며 동남쪽 마을에 대부분 ‘곡(谷)’ 자가 포함된다고 하였다. 함안 지역에 분포하는 소에는 곡 자가 포함된 것이 많은 점으로 보아 대부분 함안군의 동남쪽에 분포하였다는 사실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비리곡소(比吏谷所)는 국가 운영에 필요한 공물의 부과 및 수취를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함주지』에서 “비리곡소는 군아 서쪽의 37리[약 14.53㎞]에 있다. 즉 지금의 비리곡리이다[比吏谷所(在郡西三十七里, 卽今比吏谷里)]”라고 전한다. 하지만 필사본 『함주지』에서는 “군의 남쪽 27리[在郡南二十七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비리곡소는 일명 비사곡소(比史谷所) 혹은 비사리소(比史里所)라고 불렸다. 이곳은 『함주지』의 17개 행정리 가운데 비리곡리에 포함되었다. 현재의 위치는 여항산 남쪽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북부 일대의 고사리·평암리·금연리·거락 마을 등으로 비정된다. 국역본과 필사본이 10리[약 3.92㎞]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경유하는 노선의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1373년(공민왕 22)까지 소삼 부곡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함안 지역에는 고려 말까지는 부곡이 존재하였던 것 같다. 따라서 역시 집단 천민 부락의 하나인 비리곡소도 1409년(태종 9) 전국적으로 향·소부·곡이 완전히 혁파될 때 폐지된 것으로 추측된다.
천민 부락인 소 등은 국가 운영에 필요한 공물 수취를 위해 설치된 특수 촌락으로 사회 변화에 따른 지방 행정 조직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소 등의 붕괴는 백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