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200249 |
---|---|
한자 | 漆原縣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칠북면 |
시대 | 고려/고려,조선/조선,근대/개항기 |
집필자 | 홍성우 |
고려 전기부터 개항기까지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과 칠북면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칠원현(漆原縣)은 고려 시대의 행정 명칭으로 통일 신라 시대의 칠제현(漆隄縣)이 개칭된 것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물계자전에는 칠포국(柒浦國)으로 나타나는데, 포상팔국(浦上八國) 중의 하나이었다. 남산 신성 비문(南山新城碑文)에는 칠토군(柒吐郡)으로 나온다.
940년(태조 23) 칠원현이 되었다. 조선 시대 현감이 파견된 이유는 칠원 지역이 고대로부터 포상팔국 중의 하나인 칠포국이 위치한 낙동강에 접하여 교통상의 요지이었기 때문이다. 구산현이 칠원현의 속현이었던 것은 칠원 지역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
『삼국사기』 권 제34 지리1 양주(良州) 의안군(義安郡) 조에 "의안군은 본래 굴자군(屈自郡)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도 그대로 쓴다. 영현이 셋이었다. 칠제현은 본래 칠토현(漆吐縣)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의 칠원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32권 칠원현 건치 연혁(建置沿革) 조에는 "본래 신라칠토현이었는데, 경덕왕이 칠제(漆隄)라 고쳐서 의안군 속현으로 만들었다. 고려 초에 지금의 명칭[원(原)이 한자 표기가 원(圓)으로 된 곳도 있다]으로 고쳤고, 현종이 김해부(金海府)에 예속시켰으며, 공양왕이 감무(監務)를 두었는데 본조에서는 현감으로 고쳤다"라고 되어 있다.
칠원현은 고려 시대의 행정 명칭으로 통일 신라 시대의 칠제현이 개칭된 것이다. 1907년(순종 1) 행정 구역을 통·폐합할 때 함안에 합쳐졌다. 옛 칠원현의 흔적은 1760년(영조 36) 자리잡은 칠원 향교와 칠원이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삼한 시대 변진 접도국(弁辰接塗國)·변진 주조마국(弁辰走漕馬國)이라 비정되기도 하는데, 『일본서기(日本書紀)』 흠명기(欽明紀)에 나오는 가야 지역 요충지인 구례산수(久禮山戍)·구례모라성(久禮牟羅城)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칠토현이 경덕왕 대인 757년 의안군 영현 칠제현으로 바뀌었다. 고려 시대에는 칠원현이 되어 김해부에 소속되었고, 1907년 행정 구역이 통·폐합될 때 함안에 합쳐졌다.
칠원은 고대 칠포국이 위치한 지역이며, 낙동강에 접하여 교통상의 중요 지역이었기 때문에 독자적 행정 구역인 칠원현이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